오는 15일 한미 FTA가 발효를 앞두고 있습니다. 전남의 주력인 농축산업에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는데 정부의 추가 대책은 지지부진한 상황입니다. 농촌의 붕괴가 우려됩니다. 정지용 기자의 보돕니다.
40년째 한우를 사육하고 있는 김도천씨.
큰 돈을 들여 사료 공급기를 갖추고 사육시설을 개량하는 등 아들과 함께 축산 부농을 꿈꿨습니다.
하지만 한미 FTA 발효로 전망이 어두워지면서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인터뷰-김도천/축산농가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르겠다."
이처럼 한미FTA로 인해 축산농가에 직격탄이 예상되는 등 농촌 전반에 큰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남에서만 매년 천 백억원의 소득이 줄고, 이로 인해 농업 자립기반이 심각한 타격을 받게 될 것으로 우려됩니다.
직불제 상향, 융자 확대 등 정부의 대응책에 대해 농민들은 미봉책에 불과하다며 분통을 터뜨리고 있습니다.
인터뷰-농민연대 관계자/지난 2일 전남도청앞
"대책은 말로 그치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국회와 정부가 보완책을 마련하겠다고 했으나 총선 일정에 묻히면서 여전히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전남도는 농업경쟁력 강화와 소득 보전 등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정부에 거듭 요구했습니다.
인터뷰-유동찬/전남도 국제농업계장
"특별법 제정 등 마련되야"
한미FTA 발효를 앞두고 농민과 축산농가는 농촌사회가 벼랑 끝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극한 위기감을 표출하고 있습니다.kbc정지용입니다.
Copyright@ KWANGJU BROADCASTING COMPANY. all rights reserved.
랭킹뉴스
2025-04-30 16:16
술에 취한 후배에 몹쓸 짓 하려 한 전직 기자..항소심도 징역 1년 6개월
2025-04-30 15:23
아내 간병한 며느리 살해하려 한 90대 시아버지, 항소심도 징역 4년
2025-04-30 14:35
선관위, '특혜 채용' 고위 간부 자녀 등 8명 임용 취소
2025-04-30 14:17
'기숙사 침입' 성폭행범, 또 성범죄 저질렀는데..징역 3년
2025-04-30 13:33
'장기적출' 우크라 女기자 시신..'러 점령지' 잠입했다 사망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