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남> 다음 소식입니다. 광주시 산하 기관장이 수천만 원의 지방세를 체납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여> 올 초 임명 당시에도 자격문제가 불거지는 등 윤장현 시장의 측근인사 논란을 빚었는데, 체납 사실까지 확인되면서 광주시에 대한 비난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형길 기잡니다.
【 기자 】
광주시는 지난 1월 새로운 광주교통문화연수원장에 민선6기 인수위원이었던 정 모 씨를 임명했습니다.
CG
교통문화연수원은 한 해 8억 원의 인건비와 사업비를 모두 광주시 예산으로 충당하는 출연기관으로 원장의 연봉은 1억 원에 이릅니다.//
정 씨는 교통문화연수원장 임명 당시 지방세
6천 4백여만 원을 체납하고 있었습니다.
CG
하지만, 원장 공모와 인사추천위원회, 시장의 최종 임명 과정까지 이같은 지방세 체납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광주시는 정 원장이 취임한 뒤 월급을 압류해 세금 2천여만 원을 받아냈습니다.
CG
결국, 광주시가 혈세로 정 원장의 월급을 주고 원장은 그 월급으로 체납 세금을 낸 셈입니다//
▶ 인터뷰 : 광주시 교통문화연수원장
- "세무서도 제 아파트를 압류하고 있고 그래서 사업하면서도 크게 문제가 없었고요. 그 액수는 못 갚을 상태는 아니었기 때문에..."
취재가 시작되자 정 씨는 남은 4천 백여만 원의 지방세를 곧바로 납부했습니다.
CG
정 원장은 임용 당시에도 사설 자동차학원장 경력을 교통관련 법인 임원 경력에 무리하게 적용시켜 측근인사 논란을 빚기도 했습니다//
이런 자격 시비에도 불구하고 수천만 원의 지방세를 내지 않는 인사를 시민의 혈세로 운영되는 출연기관의 수장으로 임명한 광주시에 대해서도 비난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kbc 이형길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