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요즘 캠핑인구가 크게 늘었는데요.. 하지만 여건은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광주전남지역 야영시설 10곳 중 7곳이 미등록 상태로 운영되고 있어,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큽니다. 정의진 기잡니다.
【 기자 】광주의 한 야영장입니다.
당초 지난 3월 개장 예정이었지만 석 달 가량 미뤄졌습니다.
관광진흥법 시행령 개정으로 허가를 받기 위해
보완공사를 하느라 개장이 늦어졌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야영장업 등록기준에 따르면
야영장은 침수와 산사태 등의 우려가 없고, 긴급 상황에 대비한 대피시설을 설치해야 하며 개장시간에는 관리요원이 항상 상주하고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이런 기준을 제대로 지키고 있는
야영장은 절반도 안 됩니다.
<반투명CG>
광주·전남 지역의 야영시설 77곳 중 21곳만이 등록업체입니다//
▶ 싱크 : 지자체 관계자
- "영업을 안한다고 하면 끝나는 건데, 등록을 안하고 영업을 하면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되거든요."
캠핑장 업주들이 등록을 꺼리는 이유는 비용 부담이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 인터뷰 : 임병완 / 전남캠핑장연합회 회장
- "기본적으로 지금 현재로서는 최하 1억 원 이상이 들어가요. 적은 비용으로 캠핑장 운영을 하려면 도저히 수지타산이 안 맞죠."
정부는 일단 지난달 말로 예고했던 야영장업 등록을 오는 8월까지 연장했습니다.
하지만 8월말이면 여름 캠핑철이 사실상 끝나는 시기여서 올 여름도 야영시설 상당수가 미등록 상태로 운영됨에 따라 이용객들의 안전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kbc 정의진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