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집중]마른장마 왜..언제까지(앵커)

    작성 : 2014-07-16 20:50:50

    장마철임에도 비가 거의 내리지 않고 최근 북상한 태풍까지 비켜가면서 마른 장마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강수량 4분의 1*저수율 절반 수준



    이번 달 들어 강수량은 지난해와 비교해 4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고, 저수율도 절반 수준에 불과합니다.







    마른 장마..최악의 가뭄 우려



    엘리뇨 현상으로 장마 전선이 올라오지 못하기 때문인데, 장마가 제대로 힘도 쓰지 못한 채 이대로 물러나 버리는건 아닌지 걱정입니다.







    정의진 기자가 집중취재했습니다.







    광주의 한 조경수목 농장입니다.







    푸른 잎이 무성해야 정상인데,



    마른 잎만 힘 없이 매달려 있습니다.







    스탠드업-정의진



    "올해 새로 이식한 나무들입니다. 가문 날씨가 이어지면서 제대로 뿌리도 내리지 못하고 이렇게 말라 죽었습니다"







    모두 60그루를 새로 심었는데,



    마른 장마로 20그루가 넘게 말라죽자



    밑동만 남기고 잘라 버렸습니다.







    인터뷰-장순동/조경수목 재배



    "13년 만에 이런 가뭄 처음이다. 여기서 주는 물 만으로는 부족하다. 비가 한 번 시원하게 내려줘야 하는데 걱정이다"







    평년 대비 9일 정도 늦게 시작된 장마에 비도 찔끔 내린 데다 많은 양의 비를 뿌릴 것으로 예상됐던 태풍 너구리도 비켜가



    상황은 더욱 나빠지고 있습니다.







    (CG)



    이번 달 들어 광주 지역에는 73.8mm의



    비가 내렸는데, 지난해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하고, 평년 대비로도 36.5% 수준입니다//







    (CG)



    비가 내린 날이 2배 가량 많았는데도 20mm 이상 내린 날은 단 하루도 없었습니다//







    (CG)



    현재 저수율은 46%로 평년 대비 30%p 낮고



    지난해와 비교해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CG)



    가뭄판단지수도 광주*전남 지역을 비롯한 수도권 등은 매우 가뭄을 나타내고 있고, 나머지 지역도 대부분 가뭄 상탭니다//







    이처럼 마른 장마가 이어지는 이유는



    적도 주변 해수면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엘리뇨 현상 때문입니다.







    인터뷰-김병춘 예보관/광주지방기상청



    "북태평양 고기압이 엘리뇨로 약해져 장마전선을 못 끌어올리고 있다. 마른 장마 등 이상 기상현상 반복될 가능성 커"







    오늘 밤부터 광주와 전남 지역에는



    20에서 60mm 안팎의 비가 예보돼 있지만, 그 이후로 이렇다 할 비 소식이 없어



    가뭄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kbc 정의진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