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 정부가 부동산 등 비생산적 영역에 쏠린 시중 자금을 생산적 분야로 유도하겠다는 과제를 전면에 내세운 가운데 주무 부처인 금융당국이 어떤 '첫 메시지'를 낼지 주목됩니다.
27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권대영 부위원장 주재로 오는 28일 은행연합회, 생명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 여신금융협회, 금융투자협회 등 금융권 협회장들을 불러 간담회를 진행합니다.
예정에 없던 행사인데, 이 대통령 발언 이후 금융권 의견수렴 차원에서 긴급히 잡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대통령은 지난 24일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금융기관을 향해 "손쉬운 주택담보대출 같은 이자놀이에 매달릴 것이 아니라 투자 확대에도 신경 써주시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렇게 국민경제 파이가 커지고 금융기관도 건전하게 성장·발전하지 않겠느냐"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금융위는 금융권을 향해 예대마진(예금금리와 대출금리 차이)에 의존하는 전통적인 영업 모델을 탈피해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미래산업·벤처·자본시장 등 3대 분야를 중점 투자 영역으로 제시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공지능(AI) 기술이나 첨단 벤처 등 국가 미래가 달린 영역에 금융권의 풍부한 자금이 흘러가야 한다는 취지입니다.
금융권으로서도 6·27 가계대출 규제로 공급 목표가 '반토막'으로 줄면서 기업대출 등을 늘릴 유인이 커진 상황입니다.
정부가 현재 구상 중인 '100조 국민 펀드'에도 금융권 참여가 대거 이뤄질 수 있습니다.
정부는 100조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AI·바이오·에너지 등 첨단전략산업을 지원할 계획으로, 재원 마련을 위해 50조 원 규모의 첨단산업기금을 모펀드로 두고 금융권·일반 국민 등 민간 매칭으로 규모를 키우는 방식을 구상 중입니다.
금융위가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 대책을 쏟아내고 있는 만큼 이들에 대한 자금 공급 확대도 메시지에 포함될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위 관계자는 "새 정부 들어 금융권에 요구나 기대가 많은 상황"이라며 "자금이 주택담보대출(주담대)에 머무르기보다는 더 생산적인 쪽으로 돌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를 위해 금융권이 무얼 할 수 있는지 함께 고민해 보자는 것이고, 정부도 금융권의 노력을 도울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 살펴볼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