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국방정책연구' 여름호에 실린 논문 '한국군의 적정 상비병역 규모에 관한 연구'(김정혁 육군미래혁신연구센터 박사 등)에서는 미군의 '최소계획비율' 교리를 바탕으로 이 같은 수치를 도출했습니다.

공격 시 아군과 적군 비율이 3대 1 우위가 돼야 하고, 방어 시 1대 3은 돼야 작전 성공 가능성이 높다는 게 핵심 내용입니다.
상비 병력 비율을 보면 총병력은 2022년 기준 북한이 128만명, 우리나라가 50만명으로 약 2.6대 1, 육군은 3대 1로 최소계획비율상 마지노선에 있습니다.
더군다나 현 출산율 추세라면 2040년에는 20세 남자 인구가 14만명으로 줄어 병력 30만명도 채우기 어렵다는 전망이 제기됩니다.
연구진은 "우리 전시작전계획은 전시 초기 수십만명의 조기 동원과 미군 증원을 가정한 것이지만 실제 시행 여부는 장담할 수 없다"며 "현재 병력으로는 북한의 기습 공격 초기에 승리할 가능성이 작다"고 우려했습니다.
연구진은 군의 질적 우위만으로는 북한군의 압도적인 병력을 극복하기 어렵다면서 "특히 수세 후 공세 전략을 채택하는 한국군에게 상비 병력 50만명 유지는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연구진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에서 러시아가 초기에 밀렸던 이유도 최소계획비율에서 찾았습니다.
전쟁 발발 당시 총병력은 4대 1 수준으로 러시아가 압도적이었으나 전쟁에 투입된 지상군 병력만을 고려하면 약 1대 1.3 정도로 오히려 열세했다는 설명입니다.
연구진은 "북한 병력이 감축되지 않는 한 우리는 50만명 규모를 유지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병 복무 개월 조정, 징병제와 모병제의 혼합, 민간 인력 활용 등 다양한 방안을 국가 차원에서 결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한편, 국방부의 2025∼2029년 국방중기계획에도 병력을 50만명으로 유지하고 과학기술기반 강군을 육성하기 위한 인력을 보강하는 내용이 포함됐습니다.
정원 내에서 병을 간부로 전환하고, 군수·행정·교육 등 비전투 직위 중심으로 군무원을 증원하는 동시에 인공지능·우주·전자기 등 새로운 영역에 병력을 편성한다는 내용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