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6·1 지방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이 대선 패배 후유증 수습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당내 권력구도 재편과 공천 개혁안에 따라 입지자의 희비도 엇갈릴 전망입니다.
정의진 기잡니다.
【 기자 】
대선 이후로 모든 지방선거 일정을 미뤘던 민주당.
석패 이후 신속한 지도부 사퇴와 비대위 체제 전환을 통해 지방선거를 앞두고 분위기를 전환하겠다는 복안이지만, 입지자들의 속내는 복잡합니다.
물론 이번 대선에서 80%가 넘는 지지로 호남이 텃밭임을 재확인한 만큼, 지방선거에서도 큰 이변은 없을 것이라는 게 중론입니다.
변수는 대선 패배 이후 최대 과제로 떠오른 '혁신'과 '쇄신'을 어떻게 그려내느냐입니다.
▶ 싱크 : 최수영 / 메시지 컨설턴트('시사 1번지' 유튜브)
- "지지자들이 우리가 다시 한번 당의 쇄신과 뼈를 깎는 분골쇄신을 통해서 결집할 수 있는 그런 동력과 계기를 잃어버린 건 아닌가, 하는 우려는 됩니다."
무엇보다 공천 개혁안에 무게가 실립니다.
심장부인 호남에서부터 공천 개혁의 바람을 일으킬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새 인물이냐, 방식의 변화냐 등을 놓고 입지자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당 지도부가 물러난 만큼, 공천에 대선 기여도를 반영하겠다는 기존 약속도 여전히 유효할지 불투명합니다.
윤호중 비대위원장 체제로 지방선거를 치러야하는 상황에서 차기 원내대표 선거는 당내 권력구도 재편의 신호탄이 될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정권 재창출 실패라는 불리한 구도 속에서, 지방 선거를 앞두고 공천 쇄신에 이어 당내 권력구조 재건에 따른 입지자들의 셈법이 보다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kbc 정의진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