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쌀재배 면적 감소

    작성 : 2015-06-09 08:30:50

    【 앵커멘트 】

    네, 재배면적이 15년 새에 무려 25%나 줄었는데요..



    고령화가 갈수록 심각해지면서, 생산량도 1위 자리에서 밀려나는 등 농도 전남이란 이름이 무색해지고 있습니다. 이준석 기잡니다.







    【 기자 】

    지난해 전남의 쌀생산량은 80만 9천 톤,



    생산량 1위인 충남의 83만 6천톤보다 3%인 2만7천 톤이 적어 2위였습니다.



    전남은 2천13년에도 충남에 이어 쌀생산량 전국 2위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쌀 생산량 즉 벼 재배면적이

    해마다 줄고 있다는 것입니다



    지난 2001년 전남의 벼 재배 면적은 22만 5천 헥타, 그러나 올해 재배 계획면적은 16만 8천 헥타입니다.



    15년 사이 쌀재배 면적이 25%나 줄었습니다



    각종 개발사업으로 벼 논이 줄고 농촌고령화로 놀리는 논이 늘어나는 점 등이 주요 이윱니다



    ▶ 스탠딩 : 이준석기자

    - "전남의 쌀값이 품질에 걸맞는 대접을 받지

    못하는 것도 농민들이 벼농사를 포기하는 한

    이유로 보입니다



    지난 주말 서울 가락도매시장의 쌀값을 보면

    20kg짜리 중품 쌀이 경기미는 4만4천750원이지만 전라미는 3만9천250원에 그칩니다



    전라도쌀이 경기도 쌀값보다 5천5백원

    약 12% 이상 싼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령 농부들이 어려운 조건에서 더 힘들게 일해도 싼 값을 받는 만큼 일용 노동을 할지언정

    벼 재배를 포기한다는 뜻입니다



    어떤 농민들은 여러 변화된 환경 속에서 쌀

    농사의 총체적인 위기가 왔다고 보기도합니다



    ▶ 인터뷰 : 김홍석 / 강진읍 송덕리

    - " 국가적으로 쌀 소비량이 줄고 또 수입쌀이 대체용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국내쌀의 선호도가 떨어지지 않는가(합니다) "



    국내에서 쌀을 가장 많이 생산하면서 얻었던

    농도 전남이라는 타이틀을 어떻게 계승하고 발전시킬지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c이준석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