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AI에 이어 소 결핵병이 번지고 있습니다
영암에서만 올들어 수백마리의 소가 살처분 돼 농가들이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해당 지자체도 질병예방부터 관리, 보상금 지급 등 사후 대처까지 모두 떠맡으면서 인력과
예산 부담에 허덕이고 있습니다.
이준석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지난해 영암지역 28농가에서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해 108만 마리의 오리 등이 살처분됐습니다
25곳의 소 사육농가에서도 소 결핵병이 발병해 150마리의 소가 살처분됐습니다
영암군은 82억 원의 살처분 보상금 중 12억 원 이상을 부담했고 가축 매몰비와 초소운영비 등으로 14억 원의 자체 예산을 썼습니다.
가축전염병은 국가의 위임 사무로 병 발생 때 정부가 살처분 보상비 80%와 생계 안정비 70%를
지원하지만 매몰비 등 기타 경비는 100% 지자체가 부담하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AI나 소결핵병 등 가축질병은 영암, 강진, 해남, 나주같은 경제력이 열악한 농어촌 자치단체에서 되풀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영암군은 올 들어서만 소결핵병으로
지난해의 2.5배인 380마리의 소가 이미 살처분된 상탭니다
농축산 관련 공무원 전원이 총동원되면서 가축질병 방역에 총력전을 펴왔던 영암군은 사실상
공황상탭니다
▶ 인터뷰(☎) : 신용현 / 영암군청 산림축산과
- "철저하게 입식 전부터 이렇게 분변, 환경실험까지 다 검사를 해가지고 이상 없는 곳에 (입식을)허용해주고 있거든요. 그런데도 이렇게 하나씩 발생하니까 뭐라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AI 등이 연중 발병하고 또 토착화 논란도 거세지고 있는 시점에서 가축질병 대책은 이제 지자체의 역량을 넘어서는 형국입니다
▶ 인터뷰 : 권두석 / 전라남도 축산과장
- ""국비에서 국가적인 방역차원에서 지원해주는 게 맞다"라는 판단이 듭니다"
가축질병 보상금 전액은 물론 매몰과 초소운영등 사후관리도 국가가 책임지도록 가축전염병
예방법 등 관련법의 개정이 요구됩니다 KBC이준석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