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광주와 전남발전연구원 통합에 대한 첫 공청회에서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섰습니다.
민선 6기 시도 상생의 첫걸음으로 볼 수 있는
시도 발전연구원의 통합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됩니다
정지용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통합 찬성 측은 시*도의 상생을 위해서 행정구역을 넘어서는 발전전략이 필요하고, 인접한 지자체의 연계와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해 인력과 재정 등에서 전국 최하위권에 있는 광주와 전남발전연구원의 통합이 전제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인터뷰 : 이정록 / 전남대 교수
- "두 개의 연구원이 떨어져 있는 것보다는 하나로 합치는 게 훨씬 효율적이고 기능성도 있고, 정말 공공의 이익이나 공공의 선을 담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통합반대 측은 시*도에 따라 연구원의 이용 주체와 정책개발 단위가 각각 달라 통합효과는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또 연구원의 역량 강화는 통합이 아닌 인력과 재정 확충으로 해결해야할 문제라며, 운영의 효율성도 제한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 인터뷰 : 양승주 / 목포대 교수
- "운영 경비가 줄어든다는 것은 사무직원 몇사람 구조조정하는 거예요. 나머지 분야는 비용이 더 많이 들어갑니다."
발전연구원 통합에 대해 토론자와 참석자들 간 찬반 의견이 첨예하게 엇갈리면서 시*도지사의 통합 요구는 해법을 찾기 쉽지 않아 보입니다. kbc정지용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