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광주시민, 지역 문화환경에 낮은 평가

    작성 : 2015-01-29 08:30:50

    【 앵커멘트 】
    문화전당 개관을 앞두고 광주시민들은 문화가 경제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지역의 문화환경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화중심도시 조성에 10년간 1조원이 넘게 투입됐지만, 정작 시민들의 피부에 와닿는 건 거의 없단 얘깁니다. 김효성 기잡니다.



    【 기자 】
    CG> 광주시민들은 문화가 삶을 윤택하게 한다는
    의견에 5점 만점에 4.09점, '문화가 경제발전에 도움이 된다'에는‘3.84’점을 주며 이른바 '문화경제론'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습니다.

    CG>
    이에 반해 지역문화 환경에 대해선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습니다.

    다른 지역보다 문화적으로 앞서 있다 (2.80점)
    광주문화환경에 대한 만족도에 (2.62점), 예술인이 활동하기에 편한 곳이다(2.64점) 등 광주문화환경 전반에 보통 이하의 점수를 줬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문화중심도시사업에 1조 원이 넘는 돈이 투입됨에도 불구하고 문화환경 변화에 체감온도는 여전히 낮게 나타났습니다.

    ▶ 인터뷰 : 양사라
    - ""(문화전당이) 국내 최대 규모라고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그렇게 좋은지 잘 모르겠고, 건물하나만 딱 지어놓은 느낌입니다." "

    경제력이 있어야 문화를 항유할 수 있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4점에 가까운 3.57점이 나왔습니다.

    ▶ 인터뷰 : 허수경
    - ""문화생활을 즐기려면 소득이 뒷받침돼야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문화지원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선 시민의 요구가 높게 나타났습니다.

    CG
    문화프로그램의 다양화가 4.11, 다양한 문화행사의 지속적 개최 4.09, 홍보강화의 필요성에 4.06점 등의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 인터뷰 : 류재한 전남대 교수 /
    광주시 문화계획 책임연구자
    - ""광주가 그렇게 문화적 환경이라든지 문화예술인들에게 일할 수 있는 환경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그런 의견이 도출되었는데,이런 점에서
    심각하게 고민을 해봐야한다고 봅니다.""

    이번 조사는 광주시의 의뢰를 받은 전남대
    산학협력단이 광주에 거주하는 만 15살 이상 1,214명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95% 신뢰수준에 표준 오차는
    ±2.87%포인트입니다.

    KBC 김효성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