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R)집단 폐사 여자만 새꼬막, 대책 없이 방치

    작성 : 2015-01-18 20:50:50

    【 앵커멘트 】



    지난해 집단 폐사로 어려움을 겪었던 여수 여자만의 꼬막 양식 어민들이 이번에는 껍데기 처리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양식 꼬막 중 90%가 폐사해 껍질이 산더미처럼



    쌓여가고 있지만 뾰족한 대책을 찾지 못하면서 시름만 깊어가고 있습니다.







    박성호 기자입니다.







    【 기자 】



    대한민국 꼬막 생산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는



    여자만의 한 항구.







    새하얀 꼬막 껍데기가 산처럼 쌓여 있습니다.







    ▶ 스탠딩 : 박성호



    - "제가 지금 서 있는 이 곳은 새꼬막 껍데기로 작은 동산을 이룬 곳인데요. 육안으로 그 끝을 확인하기 힘들 정도입니다. 현재 이 곳에 쌓여있는 꼬막 껍데기의 양은 무려 7만 톤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







    어민들은 하루가 다르게 쌓여가는 꼬막을 보면 답답하기만 합니다.







    ▶ 싱크 : 여자만 꼬막양식 어민



    - "말도 못 해, 하루에 들어오는 양도 못 치워. 요즘에 워낙 많이 (꼬막 껍데기가) 나와버리니까.. 90%가 폐사가 되버려가지고.."







    굴이나 홍합과는 달리 꼬막은 패각 처리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어, 중앙정부의 지원도 어렵고,지자체 재정을 투입하기도 어렵습니다.







    ▶ 싱크 : 여수시청 관계자



    - "만약에 굴 패각처럼 해수부에서 국비가 내려오면 시비는 우리가 어떻게는 세워요. 근데 (꼬막처럼) 그렇지 않는 경우는 국비도 못가져 온 사업을 우리가 어떻게 챙겨주겠냐 (하죠)"







    일부에서는 잘게 부순 꼬막 껍데기를 불법으로 매립하고 있습니다.







    ▶ 싱크 : 꼬막 양식 어민



    - "요새 지금 정 안되니까 돈을 3천만 원 주고 (기계) 사가지고 와가지고 깨고 있어, 깨. 깨서 가루로 만들면 패각이 아니고, 매립이 돼."







    지난해 고수온과 집중호우로 꼬막이 집단 폐사하면서 흘렸던 눈물이 마르기도 전에 산더미처럼 쌓여가는 껍데기가 또 한 번의 시름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kbc 박성호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