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전남 친환경농업 경쟁력 시급"

    작성 : 2014-11-19 08:30:50
    남> 최근 친환경 인증 취소가 잇따르면서 전남지역 농산물에 대한 신뢰가 추락하고 있는데요...

    여> FTA 시대에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인증제도 개선은 물론, 정부의 지원과 농민 스스로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서울방송본부 신익환 기잡니다.



    지난해 기준 전남의 친환경 농지 면적은
    전국의 절반인 50%를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인증 취소가 잇따르면서 전남의
    친환경농산물 최대 생산지의 위상도 크게
    흔들리고 있습니다.

    (CG1)
    실제 지난 200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친환경농산물인증 취소는 모두 2만 7천여 건.

    이 중 2만여 건이 전남지역 농가로,
    전체 70%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G끝)

    친환경농산물 관련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소비자 신뢰도 제고 등을 위해 인증제도의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특히 부적합 인증, 인증심사 절차*방법
    위반 등이 잇따르고 있는 민간 인증기관의
    자격요건과 감독기능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정학균 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저농약 인증제가 오는 2016년부터
    완전 폐지될 경우 친환경농업이 후퇴할 수 있는 만큼 유기*무농약으로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인터뷰-김승남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특히 참석자들은 중국과의 FTA 체결로
    친환경농산물의 수입 증가로 인한 전남
    친환경 농가의 피해도 예상돼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스탠드업-신익환
    무엇보다 소비자의 필요에 부합하거나
    기능성을 강화한 친환경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농가의 노력도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c 서울방송본부 신익환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