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 최근 친환경 인증 취소가 잇따르면서 전남지역 농산물에 대한 신뢰가 추락하고 있는데요...
여> FTA 시대에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인증제도 개선은 물론, 정부의 지원과 농민 스스로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서울방송본부 신익환 기잡니다.
지난해 기준 전남의 친환경 농지 면적은
전국의 절반인 50%를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인증 취소가 잇따르면서 전남의
친환경농산물 최대 생산지의 위상도 크게
흔들리고 있습니다.
(CG1)
실제 지난 200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친환경농산물인증 취소는 모두 2만 7천여 건.
이 중 2만여 건이 전남지역 농가로,
전체 70%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G끝)
친환경농산물 관련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소비자 신뢰도 제고 등을 위해 인증제도의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특히 부적합 인증, 인증심사 절차*방법
위반 등이 잇따르고 있는 민간 인증기관의
자격요건과 감독기능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정학균 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저농약 인증제가 오는 2016년부터
완전 폐지될 경우 친환경농업이 후퇴할 수 있는 만큼 유기*무농약으로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인터뷰-김승남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특히 참석자들은 중국과의 FTA 체결로
친환경농산물의 수입 증가로 인한 전남
친환경 농가의 피해도 예상돼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스탠드업-신익환
무엇보다 소비자의 필요에 부합하거나
기능성을 강화한 친환경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농가의 노력도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c 서울방송본부 신익환입니다.
랭킹뉴스
2025-08-13 22:33
광주서 5중 추돌사고로 8명 부상...70대 택시운전자 입건
2025-08-13 20:29
중부지방 집중호우 1명 사망…인천·경기에서 26명 대피
2025-08-13 16:49
지름 0.5m 크기 싱크홀 발생...출근길 교통 정체
2025-08-13 15:37
광양제철소 '망루 농성' 노조 간부들 집유
2025-08-13 14:24
재하도급 의혹 건설업자 무혐의..."'서면 동의' 정해진 형식 없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