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액이 4백억 원대에 이르는 사상 최대
규모의 보이스피싱 조직이 적발됐습니다.
피해자만 수 만명에 이르고 있습니다
놀랍게도 사이버수사 업무를 담당했던
전 경찰 간부가 조직의 총책이었는데요
이미 해외 도피중이어서 인터폴에 국제
공조를 요청할 예정입니다
박성호 기자입니다.
지난해 4월, 48살 정 모 씨는 저축은행
직원이라고 밝힌 한 남성으로부터 싼 이자로 대출해주겠다는 전화를 받았습니다.
정 씨는 수수료 명목 등으로 7백여만 원을 보냈지만 뒤늦게 사기를 당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고 뇌경색 진단까지 받았습니다.
싱크-정 모 씨/보이스피싱 피해자
"저축은행에서 대출승낙이 거절당했는데, 다음날 다시 전화와가지고 해주겠다 해가지고 했는데 알고보니까 그게 사기였다는거죠. 굉장히 고초가 심했어요 제가."
이처럼 저축은행을 사칭해 돈을 받아
가로챈 대규모 보이스피싱 조직이 검찰에 적발됐습니다.
광주지검은 지난 2011년부터 해외에
콜센터를 만든 뒤 대출 수수료 등의
명목으로 2천여 명으로부터 40억 원을 챙긴 혐의로 53명을 붙잡아 이 가운데
자금관리책 등 26명을 구속기소했습니다.
이들은 중국인 해커를 통해 금융권에서
대출을 거부당한 20여만 명의 명단을 입수한 뒤 피해자들에게 접근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싱크-실제 통화 내용/ "천만 원 승인 처리는 되셨구요. 그렇기 때문에 저희 쪽에서도 최소한의 안전장치로 보증보험 하나 가입을 요청드릴 겁니다."
검찰은 환전금액과 피해기간 등을 감안하면 피해 금액이 4백억 원, 피해자도 수만 명에 이르는 역대 최대 규모라고 밝혔습니다.
싱크-이두식/광주지검 차장검사
이와 함께 조직의 총책임자는 서울의 한
경찰서에서 사이버수사를 담당했던 전직
경찰 간부 42살 박 모 씨였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박 씨는 자신이 수사한 피의자 3명을
조직원으로 끌어들이는 등 수사 경험과
인맥을 활용해 조직을 운영했으며
현재 해외에서 잠적한 상태입니다.
검찰은 해외 도피 중인 총책 박 씨 등
21명을 수배하는 한편 인터폴에 국제공조를 요청할 예정입니다.
kbc 박성호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