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기술력 저환율시대 극복 열쇠

    작성 : 2013-12-23 07:30:50
    무역 흑자등의 영향으로
    원*달러 환율이
    연중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저환율 즉 원화 강세 시대가 본격화
    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인 가운데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있는 지역 기업을
    강동일기자가 소개합니다.









    광주 하남공단의 한 금형업체.

    승용차부터 F1 경주용 자동차의
    타이어 금형을 생산할 정도로
    이 분야에선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전세계 30여개국에
    1억 달러 이상 수출에 성공했습니다.

    <인터뷰> 박양근 / 세화아이엠씨 사장

    순수 국내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최초로 3.5km 굴착에
    성공한 지역의 한 중소기업.

    3.5km 지하에서 뿜어져 나오는
    100도 가량의 지열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개발의 새로운 길을 열었습니다.

    <인터뷰> 한문석 /한진디엔비 대표이사

    이들 업체의 특징은 무엇보다
    앞선 기술력을 갖췄다는데 있습니다.

    기술력은 해외시장에서
    곧바로 가격 결정력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환율 하락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있습니다


    실제로 환율은 1달러당 1,051원으로
    지난해 1월보다 10%나 경쟁력이 떨어졌고,
    엔 원 환율도 100엔당 1,021원으로
    지난해 1월 1,500원에서
    32%나 경쟁력이 악화됐습니다.

    특히 내년에는 저환율이 기승을 보일 것으로 우려됩니다.

    저환율 시대를 맞아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기술력을 갖추는 것이
    바로 저환율 시대를 극복하는 열쇠가 되고 있습니다. 케이비씨 강동일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