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가동을 멈춘 가운데 복구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27일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국정자원 5층 전산실 내에 있는 '무정전 전원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 전원을 작업자가 끈 뒤 약 40분 지난 전날 오후 8시 20분쯤 알 수 없는 이유로 배터리에서 불꽃이 튀며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화재 열기로 전산실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항온항습장치가 작동을 멈추자, 서버 등 장비 손상을 우려한 국정자원 측은 대전 본원 내 647개 시스템 전원을 모두 차단했습니다.
국정자원은 대전 본원과 광주·대구센터를 합쳐 정부 업무서비스 기준 총 1,600여 개 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전 본원에만 전체 국가 정보시스템의 3분의 1 이상이 몰려있는 셈입니다.
문제는 리튬이온 배터리 특성상 화재 진압에 시간이 오래 걸려 정확한 피해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겁니다.
더욱이 서버 전원 연결이 차단된 상황이어서 백업 데이터를 활용하는 복구 작업에도 차질이 예상됩니다.

클라우드 업계 등에 따르면 국정자원의 G-클라우드 존 데이터는 최대 4중화까지 백업돼 있어, 서버가 소실되더라도 외부 저장 데이터를 통한 복구는 가능합니다.
하지만 많은 시스템이 몰려있는 만큼 일부 시스템은 조기 복구되더라도 전체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광주와 대구 등 다른 센터에 데이터가 백업돼 있지만, 백업과 빠른 복구는 다른 문제"라며 "센터 간 거리가 멀어 데이터베이스 동기화가 쉽지 않은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행안부 관계자도 이날 브리핑에서 "대전·대구·광주 3개 센터로 이뤄진 국정자원 가운데 대전·광주는 재해복구 시스템이 일부 구축돼 있으나 최소한의 규모에 불과하고, 스토리지만 있거나 백업만 있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시스템별로 조금씩 다르게 돼 있어 시스템별로 재해 복구 시스템을 가동할지 아니면 원시스템을 복구할 건지를 판단해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정부는 일단 복구 작업에 착수하는 대로 국민 파급효과가 큰 1∼2등급 정보시스템부터 우선 복구를 시도할 방침입니다.
국가 정보시스템은 이용자 수나 파급 효과 등을 따라 1∼4등급으로 분류됩니다.
염흥열 순천향대 정보보호학과 명예교수는 "사고 발생 후 십수 시간이 넘었는데도 정부 서비스가 원활히 제공되지 않고 있다"며 "매뉴얼에 따라 복구 절차를 착실히 준비해 가능하면 주말 내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