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사망원인 1위 자살..."고단한 '먹고사니즘' 때문"

    작성 : 2025-09-25 17:16:57
    ▲ 자료이미지 

    지난해 40대의 사망원인으로 자살이 역대 처음으로 1위가 되는 등 경제 활동 주체들의 자살률이 대체로 오른 것이 한국인들의 고단한 '먹고사니즘'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사망원인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자살 사망자(1만 4,872명)는 전년보다 6.4% 늘어 2011년 이후 최다를 기록했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29.1명)도 전년보다 6.6% 올라 2011년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

    특히 40대에서 198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자살이 사망원인 1위로 올라섰습니다.

    40대 사망원인에서 자살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26.0%로 암(24.5%)보다 많았습니다.

    2023년에는 암이 25.9%로 자살(23.4%)을 소폭 앞섰는데, 순위가 뒤바뀌었습니다.

    이를 두고 강원대병원 박종익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초대 중앙자살예방센터장)는 "40대만의 문제는 아니겠지만, 40대에서도 자살이 사망원인 1등이 된 건 심각한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박 교수는 "전체적으로 경제활동 인구의 자살률이 올랐다"며 "결국 한 마디로 얘기해서 먹고사는 문제가 자살률에 반영됐다고 봐야 하는 게 맞다"고 강조했습니다.

    지난해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2023년과 비교했을 때 30대(14.9%), 40대(14.7%), 50대(12.2%) 순으로 자살자 수가 많이 늘었습니다.

    노인 빈곤 탓에 여전히 노동 인구가 적지 않은 60대의 자살자 수도 같은 기간 3.9% 늘었습니다.

    반면 70대(-8.7%)와 80세 이상(-10.3%)에서는 자살자가 줄었습니다.

    박 교수는 "구매력 기준으로 하면 지난해 우리 국민 1인당 가계 순자산은 영국을 넘어섰다"며 "그런데도 경제활동 주체들의 자살률이 오른 것은 살기 어려워졌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뜻으로 봐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좀처럼 줄지 않는 자살 문제를 엄중하게 인식하고, 예방 정책 강화에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입니다.

    보건복지부는 앞서 발표한 '2025 국가 자살 예방 전략'을 토대로 자살 시도자 위기 개입 강화, 지방자치단체 자살 예방 전담 조직·인력 보강, 인공지능(AI) 기반 자살 상담 전화 실시간 분석 및 자살 유발 정보 차단 등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 또는 자살예방SNS상담 '마들랜'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1)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최신순 과거순 공감순
    • 김영환
      김영환 2025-09-25 20:10:08
      과반수는 그런 생각을 실행 전단게까지 가는 생지옥이쟎아.. 극매뉴악마들에게 100년 털리고 나니 남은게 거의 없어서 미래는 역시 생지옥이니... 요람에서 무덤까지가 아니라 태아부터 사후까지도 대대로 생지옥의 연장이지.. 99%를 가져간 것들을 박멸하기 전에는 방법이 없어. 그것들은 더 악랄한 것들을 태어나게 하고 기르고 악마가 되게 만들어서 호사하는 악마들이 대다수야. 국민들은 순진하게 살아야 괴롭지 않으니... 찍히면 어디선가 관리하거든.. 그것도 모르지.. 이 나라 악마들의 정보원이 얼마나 많은지도.. 수십만명 수준이니...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