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AI 산업 도약의 기회…현장에서 말하는 성공 조건은?

    작성 : 2025-08-23 20:45:52
    광주 AI 산업 도약의 기회…현장에서 말하는 성공 조건은? / KBC뉴스

    【 앵커멘트 】
    정부가 최근 광주 AI 2단계 사업 추진을 의결하면서 향후 6천억 원의 추가 투자를 앞두고 있습니다.

    1단계 데이터센터 기반 구축에 이어 본격적인 기업 실증사업을 지원해 AI 융복합기업 1,000개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실제 AI 기업들이 말하는 광주의 성공 조건은 무엇인지 이형길 기자가 스타트업 CEO들을 만나봤습니다.

    【 기자 】
    광주에는 지난 2020년부터 5년동안 4천억 원을 들여 AI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한 집적단지가 조성됐습니다.

    타 지역들이 SOC 사업을 예타 면제 사업으로 신청할 때, 광주는 과감하게 AI를 꺼내든 결과물입니다.

    사업이 시작된지 5년, 지금까지 731개의 창업 초기 단계 기업들이 광주의 지원을 받았고 1,100여 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된 것으로 광주시는 집계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2단계 사업 추진 방침으로 앞으로는 본격적인 기업 유치가 추진됩니다.

    ▶ 인터뷰 : 오상진 / 광주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장
    - "기업들이 AI와 관련된 연구개발을 할 수 있는 과제를 많이 편성하는 부분에 대해서 신경을 많이 썼습니다."

    기업 유치를 위해 광주에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AI 스타트업 대표들은 무엇보다 인재들이 광주로 올 수 있는 정주여건 개선을 꼽습니다.

    ▶ 인터뷰 : 정승기 / 솔티랩 CEO
    - "서울에서 저희 연구소를 운영을 하면서 광주 갈 사람이라고 물어보면 다들 머리에 물음표만 띄우고 있죠 내가 지금 왜? 가면 어떤 지원과 어떤 혜택이 있지?"

    여기에 더해 기존 AI 사관학교는 물론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인재 양성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 인터뷰 : 함민혁 / 젠다이브 CEO
    - "광주 인공지능 사관학교를 통해서 전문인력들을 쉽게 지역에서 채용을 할 수 있다라는 점, 이런 점들이 가장 큰 매력 포인트라고 느껴서"

    AI 산업을 통해 새로운 도약을 꿈꾸는 광주.

    결국 성과는 기업과 인재들이 모여서 만들어 내야하는 만큼, 인프라 구축 만큼이나 누구나 살고 싶고 일하고 싶은 도시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C 이형길입니다.

    댓글

    (1)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최신순 과거순 공감순
    • 박성용
      박성용 2025-08-24 02:25:51
      더러운 부정부패 매국노 흉어들 세금 빼먹는 떼도둑 횡령 대잔치 ㅉ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