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인 양금덕 할머니가 윤석열 정부 당시 무산됐던 서훈을 3년여 만에 받았습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2일 광주 동구의 한 요양병원을 찾아 양 할머니에게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여했습니다.
양 할머니는 1944년 5월 '돈을 벌고 공부도 할 수 있다'는 교사 말에 속아 일본 미쓰비시중공업 나고야항공기제작소로 강제 동원됐던 피해자입니다.
1992년 일본 정부를 상대로 첫 소송을 제기했고, 이후 30년 동안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권리 회복을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양 할머니는 이같은 공로를 인정받아 2022년 국민훈장 모란장에 해당하는 '대한민국인권상' 대상자로 추천됐지만, 당시 외교부가 제동을 걸면서 서훈이 취소됐습니다.
이후 지난달 29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양 할머니에게 국민훈장을 수여하는 안건이 의결돼 3년 만에 서훈을 받게 됐습니다.
서훈은 정부를 대표해 육성철 국가인권위 광주사무소장이 병원으로 찾아가 별도의 수여 행사 없이 전달했습니다.
육 소장은 "오랜 기간 일본 정부로부터 사과받지 못하고 고생 많으셨다"며 "2022년부터 추진이 보류됐던 모란장을 이재명 정부가 나서면서 수여하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이에 양 할머니는 "이재명 대통령 덕분에 모란장을 받게 됐다"며 "고맙게 생각하고, 열심히 일하는 대통령을 지지한다"고 답했습니다.
한편, 이날 양 할머니를 비롯한 강제동원 징용 피해자들을 지원해 온 단체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은 참석하지 않고, 정부에 제3자 변제안 철회를 재차 촉구하는 입장문을 냈습니다.
이들은 "정부는 이번 서훈 재개가 윤석열 정권의 잘못을 바로잡는 취지라면서도 지난 정권의 대표적 역사 퇴행 사례인 강제동원 제3자 변제에 대해서는 '국가 관계에는 정책의 일관성이 중요하다'며 바꿀 생각이 없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는 '절반의 정의'이자 필요한 것만 골라 취하는 '선택적 정의'"라면서 "내란 척결을 넘어 반듯한 나라를 세우자며 찬바람 무릅쓰며 매일 응원봉을 밝힌 광장의 요구를 외면하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