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이재의 광주시 비서실장의 비리 의혹이 불거진 가운데 정무특보와 행정부시장의 인선까지
늦어지는 등 광주시의 인사 난맥상이 여실히
드러나고 있습니다.
민선 6기 출범 이후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는 광주시 인사시스템 전반에 쇄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정경원 기잡니다.
【 기자 】
이재의 광주시 비서실장이 전라남도 산하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나노바이오연구원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예산을 횡령한 혐의로 경찰에 입건됐습니다.
경찰은 또 나노바이오연구원 45살 김 모 팀장을 소환 조사해 김 팀장이 한 업체에 독점 납품을 하게 해주는 대가로 수천만 원을 챙긴 사실을 확인하고, 이재의 비서실장과의 연관성에 대해 수사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 싱크 : 광주지방경찰청 관계자
- "팀장이 조사가 다 끝나고 나 봐야 오늘 내일 사이에, 끝나고 나 봐야 조금 더 정확히 (금품수수 여부) 구분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이 실장은 지난 23일 사의를 표명한 상태,
임명된지 불과 두 달 만에 비리 혐의가 불거져 자진사퇴를 결정하면서 과연 광주시의 인사 검증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했는지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입니다.
▶ 스탠딩 : 정경원
- "문제는 광주시의 인사 난맥상이 이재의 비서실장에 대한 비리 의혹이 제기되기 이전에도 수차례 반복돼 왔다는 점입니다"
사실상 비서실장 공석과 함께 시장의 최측근이라고 할 수 있는 정무특보와 행정부시장 인선도 난항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정무특보는 내정자까지 발표됐지만 비리 의혹이 제기돼 이른바 평판 조회를 한다는 이유로 임명이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는 상탭니다.
행정부시장 인사도 행정자치부와의 입장차 때문에 무려 4개월 이상 적임자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이달 초 선임된 빛고을노인건강타운 본부장은 과거 돈을 주고 교수직을 산 범죄 이력이 드러나 말썽을 빚기도 했습니다.
산하기관 임원을 임명할 때도 측근인사, 정실인사 논란이 일지 않았던 적이 드물 정돕니다.
▶ 인터뷰 : 오미덕 / 참여자치21 공동대표
- "인사권이 개인의 사적인 친분관계에 의해서 이뤄지는, 굉장히 협소한 틀에서 이뤄지다 보니까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취임 이후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는 민선 6기 광주시 인사,
검증 시스템을 재점검하는 것뿐 아니라 인사 스타일에 대한 전면적인 쇄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c 정경원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