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 지난 1월 발생한 이른바 염전노예 사건 기억 나실텐데요.. 1년도 채 안됐는데 언제 그랬냐는 듯 잊혀지고 있습니다.
여> 공분을 샀던 염전 업주들은 관례란 이유로 솜방망이 처벌에 그쳤고, 금방이라도 바꿀 것처럼 쏟아졌던 대책들은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습니다. 백지훈 기잡니다.
지난 20일 열린 광주고법 국정감사에서 염전노예 파문에 대한 국회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졌습니다.
심각한 인권침해가 분명한 데도 고법이
염전의 관행이었다거나 숙식을 제공했다는
이유로 집행유예를 선고한 것에 대한
지적이였습니다.
싱크-임내현(새정치민주연합)/사람을 물건 사 듯 해가지고 24시간 짐승처럼 대하면서 식사도 제때 주지않고 상습폭행이 자행되고...
10달 전 염전노예 파문이 커지자 염전의
인권침해 재발을 막겠다고 전라남도와 해양수산부가 23억 원을 들여 천일염 인력공급센터를 설립하기로 했습니다.
염전근로자들의 4대 보험료 등을 지원하는 내용까지 포함됐습니다.
인터뷰-양근석/전남도 수산유통가공과장
하지만, 기획재정부가 실효성 문제를 들어 천일염 인력공급센터를 내년 예산 편성에서
전액 누락시켰습니다.
염전에서 발생하는 인권유린을 막기 위한 천일염 인력공급센터마져 좌초 위기에 놓이면서 염전노예 재발을 막겠다던 온갖 보호대책이 헛구호가 되고 있습니다.
kbc 백지훈입니다.
랭킹뉴스
2025-08-13 22:33
광주서 5중 추돌사고로 8명 부상...70대 택시운전자 입건
2025-08-13 20:29
중부지방 집중호우 1명 사망…인천·경기에서 26명 대피
2025-08-13 16:49
지름 0.5m 크기 싱크홀 발생...출근길 교통 정체
2025-08-13 15:37
광양제철소 '망루 농성' 노조 간부들 집유
2025-08-13 14:24
재하도급 의혹 건설업자 무혐의..."'서면 동의' 정해진 형식 없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