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컨텐츠 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와
광주시, 민간자본이 190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했습니다.
전체 펀드의 50% 이상을 광주에 의무적으로 투자해야 한다는 단서가 달려 있습니다.
그런데 일부 기업들이 광주에 지사를
설립하거나 지역기업과 법인을 설립해서
편법으로 돈을 받아가고 있습니다.
결국 지역업체들은 하청업체로 전락해
설립 취지를 상실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정지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2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9억 원의
펀드를 투자받은 한 컨텐츠 기업입니다.
본사는 서울에 있고 펀드를 받기 위해서
광주에 지사를 설립했습니다.
싱크-업체 관계자(음성변조)/상주 인력은 외주까지 합해서 6명, 여기서는 기획*관리하고, 실제 작업은 서울 본사에서 (진행하죠).
수도권 기업과 공동으로 법인을 설립하고,
펀드 5억 원을 받은 한 컨텐츠 기업은
하청업체에 불과합니다.
싱크-업체 관계자(음성변조)/(저희는) 외주만 하고 있었지 저희가 펀드를 받아서 진행한 것은 하나도 없어요.
이처럼 문화산업펀드가 투자 규정을
교묘하게 활용한 수도권 기업들의 먹잇감이 되고 있습니다.
지역 컨텐츠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와
광주시, 민간자본이 참여해 지난 2012년 9월 (c.g.) 190억 원의 펀드를 조성했습니다
투자전문업체가 운영하는 펀드는 50% 이상 광주에 의무 투자하도록 하고, 투자 대상 기업도 엄격히 제한했습니다.(out)
하지만 광주에 지사를 설립하거나
공동법인 등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펀드를 받아가는 업체가 적지 않습니다.
(cg)지역기업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 17개 중 9개가 이같은 방법을 통해 지원됐습니다
투자 따로, 운영 따로 이뤄지다보니
업체에 대한 현장 실사 등은 형식에 그치고
있습니다
인터뷰-문병재/광주시 문화기업지원 담당
이에 대해 투자업체는 펀드 결산 때
의무 투자금액을 산정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고 해명하고 있지만, 투자대상에
개별 기업과 컨텐츠를 규정하고 있어
설득력이 떨어집니다.
su// 허술한 관리감독아래 지역컨텐츠산업 육성을 위해 설치된 문화산업펀드가 그 본래의 취지를 상실하고 있습니다. kbc 정지용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