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병대 채상병 순직 사건 수사 방해 의혹을 수사 중인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2일 김선규 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1부 부장검사를 소환 조사했습니다.
김 전 부장은 지난해 총선 전까지 사건 관계자 소환을 지시하지 말라며 수사를 지연·방해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그는 지난해 상반기 공수처장 직무대행으로 있으면서 채상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을 무마하려 했다는 혐의(직권남용)로 조사받고 있습니다.
김 전 부장은 이날 오전 9시 40분쯤 특검 사무실에 출석하며 "사실관계와 조금 다르다. 올라가서 설명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특검팀은 공수처 내부 관계자들로부터 "김 전 부장이 4·10 총선 전까지 사건 관계자들을 소환하지 말라고 지시했다"는 진술과 관련 수첩 등의 압수물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지난해 5월 채상병 특검법의 국회 통과를 앞두고 "거부권 행사의 명분이 필요하니 수사를 서둘러라"는 취지의 지시를 내린 정황도 포착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 전 부장은 과거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친분으로 인해 채상병 사건 수사를 의도적으로 방해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습니다.
그는 2013년 윤 전 대통령이 국정원 댓글 수사로 징계를 받을 당시 내부망에 "징계를 철회하라"는 글을 올리며 공개적으로 옹호한 인물입니다.
한편 특검팀은 전날 오동운 공수처장도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하며 윗선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오 처장은 소속 검사 위증 혐의와 관련해 공수처법상 '대검 보고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직무유기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특검은 오 처장이 송창진 전 공수처 수사2부 부장검사에 대한 위증 고발 사실을 알고도 1년 가까이 보고를 미뤘다고 보고 있으며, 고의성이 인정될 경우 기소를 검토할 방침입니다.
다만 특검팀 활동 종료까지 한 달도 남지 않아 수사 확대는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오 처장은 전날 출석해 "정상적인 수사 과정이었다"며 혐의를 전면 부인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