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벨문학상 수상자 한강 작가의 소설 '소년이 온다'의 주요 장소들을 직접 걸으며 탐방할 수 있는 여행길이 조성됐습니다.
광주광역시는 소설 '소년이 온다' 속 5·18 민주화운동 사적지 곳곳을 하나의 인문투어 코스로 묶은 '소년의 길'을 만들었습니다.
'소년의 길'은 '소년이 온다' 속 실제 장소와 5·18 민주화운동의 실제 현장, 관련 문화시설과 함께 한강 작가가 유년시절을 보냈던 북구 중흥동 일대와 그의 모교 등으로 구성됐습니다.
특히, 장소마다 역사적 의미와 문학적 감성을 한 번에 느낄 수 있도록 다채로운 콘텐츠를 더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소년의 길'은 '소년이 걸었던 길'과 '작가가 걸었던 길' 등 두 가지로 구성됐습니다.

'소년이 걸었던 길'은 5·18민주화운동기록관-광주YMCA-옛 광주적십자병원-국립아시아문화전당-상무관, 옛 전남도청, 5·18민주광장-전일빌딩245 등으로 이어집니다.
'작가가 걸었던 길'은 골목길 문화사랑방(한강 작가 어린 시절 거주지 인근)-효동초등학교-중흥도서관-전남대학교 등을 따라 걷도록 했습니다.
중흥도서관에서는 '소년이 온다'의 주인공 동호의 모티브가 된 고 문재학 열사의 어머니인 김길자 여사가 기증한 '소년이 온다' 책과 한강 작가의 도서 등을 전시합니다.
한강 작가의 모교인 효동초등학교에서는 건반 모양으로 한강 작가의 책 표지를 전시한 조형물을 선보입니다.
오는 12월 조성되는 '골목길 문화사랑방(가칭)' 부지에는 아트컨테이너 전시장 모듈을 설치해 5·18기록관 기획전시 영상과 노벨문학상 수상 기념일 행사 영상, 동호의 편지 영상을 송출합니다.
'소년이 걸었던 길'과 '작가가 걸었던 길'을 잇는 푸른길공원의 '푸른길 문화샘터'에는 한강 작가와 김대중 전 대통령 등 노벨상 수상자에 대해 전시합니다.

전일빌딩245에서는 시민 518명의 한강 작가 작품 필사본을 전시하고, 책을 읽고 휴식할 수 있는 문학라운지를 운영합니다.
옛 적십자병원은 내부엔 5·18 민주화운동과 옛 광주적십자병원 관련 사진·영상을, 외부엔 광주전남작가회의 걸개 시화 작품이 전시됩니다.
5·18민주화운동기록관에서는 '소년이 온다'와 관련한 다양한 기록물 등 50여 점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획전시가 진행됩니다.

광주시는 '소년의 길' 안내 지도를 제작해 골목길 문화사랑방과 전일빌딩245, 독립서점 등에서 배포할 예정입니다.
또 오는 17일부터 12월까지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 30분과 오후 4시 등 두 차례에 걸쳐 해설서와 함께 '소년의 길'을 직접 걸으며 탐방하는 인문투어 프로그램도 무료로 운영할 예정입니다.
인문투어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전일빌딩245사업단에 전화(062-233-0245/062-613-2492) 문의하거나 현장 접수를 통해 신청하면 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