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8년, 소방 출동을 방해하는 불법 주·정차 차량을 강제처분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마련됐는데요.
하지만 실제 광주 전남에서 불법 주·정차 차량에 대해 강제처분이 이뤄진 사례는 한 건도 없었습니다.
민원과 보상 문제 때문인데요. 소방당국은 앞으로 불법 차량들에 대해 엄정히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조윤정 기잡니다.
【 기자 】
<현장음 - 사이렌 소리>
화재 진압을 위해 주택가에 출동한 펌프차 한 대.
골목 입구를 막고 있는 SUV 를 그대로 밀고 현장으로 진입합니다.
이번엔 소방대원들이 소화전 앞에 주차된 승용차로 다가갑니다.
망치를 이용해 유리창을 부수고, 그 사이로 호스를 넣어 소화전과 연결합니다.
▶ 인터뷰 : 황 선 / 광주 북부소방서 현장지휘팀장
- "(불법 주정차 차량들로 인해) 현장에 가까이 접근하지 못해서 재산피해와 인명사고가 많이 난 것을 보고 매우 안타까웠습니다. 이런 훈련이 그런 것을 해소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좁은 도로를 빽빽하게 채운 불법 주·정차 차량들은 화재 발생시 골든타임 확보를 방해하는 큰 걸림돌 중 하납니다.
2년동안 광주·전남에서 소방당국이 적발한 불법 주·정차 사례는 300건이 넘었습니다.
▶ 스탠딩 : 조윤정
- "지난 2018년 소방 활동을 방해하는 차량을 강제처분 할 수 있도록 법이 강화됐지만, 실제 광주 전남에서 처분이 내려진 사례는 단 한 건도 없었습니다. "
민원과 손해보상 절차에 대한 부담 때문입니다.
소방당국은 앞으로 긴급 출동을 방해하는 차량에 대해 강력하게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 인터뷰 : 황 선 / 광주 북부소방서 현장지휘팀장
- "민원제기 문제 때문에 사실 집행을 하지 않은 것이 많이 있습니다. 내년부터는 적극적으로 실행할 예정입니다."
다만 강제처분이 최선의 방법은 아닌만큼, 소방당국은 무엇보다 시민들의 적극 동참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KBC조윤정입니다.
 
                

 제보
제보
 로그인
로그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