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deo Player is loading.
일본 정부가 강제동원 피해자의 후생연금 탈퇴수당으로 931원을 지급해 또다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70여 년간의 물가상승분을 전혀 반영하지 않은 금액인데, 강제동원 피해자 단체는 '모욕'이라며 강력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조윤정 기잡니다.
【 기자 】
1944년 5월, 만 열 네살의 나이에 일본 나고야의 항공기 제작소로 강제동원된 정신영 할머니.
미쓰비시중공업을 상대로 한 소송이 진행 중이던 지난해 3월 일본 정부에 후생연금 탈퇴수당을 신청했습니다.
꿈적않는 일본 기업을 상대하기 위해서는 강제동원 사실을 직접 증명해야했기 때문입니다.
그 후 1년 5개월 만에 수당이 입금됐는데, 통장에 찍힌 금액은 931원이었습니다.
일본 돈으로 환산하면 약 99엔, 물가상승과 화폐가치 변화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금액입니다.
▶ 인터뷰 : 정신영 / 강제동원 피해자
- "(일본) 사람들은 무슨 이유로 931원을..애들 과자값도 아니고 사죄도 안 하고 어쩌면 그럴 수가 있습니까."
강제동원 피해자 단체는 '악의적인 우롱'이라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그러면서 일본의 안하무인식 태도는 우리 정부가 펼친 굴욕적인 외교 탓이라고 지적했습니다.
▶ 인터뷰 : 이국언 /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대표
- "(일본 기업은) 속수무책으로 세월 기다리다가 피해자들 지쳐 쓰러져가도록 하고, (정부는) 이 상황을 보면서도 오히려 기업에 손실 가는 일은 절대 막아주겠다고 찾아가서 약속하고.."
일본 정부의 무책임한 태도 속에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시간은 속절없이 흘러가고 있습니다.
KBC조윤정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