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그제 새벽 붕괴된 광주 봉선동 아파트 뒤편 옹벽에 대해 전문가들은 첫날에 비해 상황이 좋아졌다며 추가 붕괴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보상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계획인데 자차 보험에 들어 있지않는 차량에 대한 보상은 책임 소재 등이 가려진 뒤에야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경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쏟아진 흙더미를 화물차로 퍼 나르는 작업이 한창입니다.
합동대책본부는 매몰된 차량에 사람이 타고 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계속해서 차량 수색에 집중했습니다.
수색이 모두 끝나면 응급복구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책본부는 경사면 정리가 마무리되면 추가 붕괴 위험성은 현격하게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정황호 / 광주 남구 도시관리국장
- "토사 제거 작업이 완료가 되면 사면이 안정이 되기 때문에 추가 붕괴는 없을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그렇다면 현재 대피하고 계신 분들이 집으로 복귀하는 것도 가능하리라고 봅니다"
주민들은 이제 비상대책위원회를 만들어 보상 논의도 시작하려고 하는 단곕니다.
관건은 파손된 차량에 대한 부분,
자차 보험에 가입된 차량 소유주들의 경우 보험회사에서 보상받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차주들은 누구로부터, 어디까지 보상받을 수 있을지 의견이 분분합니다.
▶ 싱크 : 피해 아파트 관리사무소 관계자
- "보상 문제가 어떻게 되냐고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대책위원회를 구성해서 여기서 의견을 모아 가지고 구청과 얘기하면 구청에서 어떤 얘기를 하실지..."
때문에 구체적인 보상 문제는 경찰 수사에서 책임소재가 가려진 뒤 정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경찰은 설계와 시공, 사후관리 등 3가지 부분에서 사고 원인을 조사한다는 방침이지만, 설계와 시공에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업체가 이미 도산한데다 공소시효도 만료돼 책임을 묻기는 어려울 전망입니다.
▶ 싱크 : 광주 남부경찰서 관계자
- "현재 상태에서 22년의 기간은 어떤 법률을 적용해도 공소시효는 지난 거죠. 그렇다 하더라도, 공소시효가 지났다 하더라도 일단 어떻게 시공이 됐고 건축이 됐는지는 살펴봐야 되겠죠"
이번 옹벽 붕괴에 대해 일정 부분 책임을 질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인정한 남구는 광주시로부터 특별교부금 5억 원을 확보하고 중앙정부에도 교부금을 신청했습니다.
kbc 정경원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