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 시행에도 내년 상반기 주택가격 상승을 전망하는 시각이 절반을 웃돈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습니다.
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2일까지 전국 1,458명을 대상으로 '2026년 상반기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를 한 결과 52%가 내년 상반기 주택 매매가격이 오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상승 전망 비율은 2021년 하반기 조사(62%) 이후 가장 높은 수치라고 부동산R114는 전했습니다.
하락한다는 응답은 14%, 보합 전망은 34%였습니다.
가격 상승 전망 이유로는 '핵심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35.37%)이 가장 많았고 이어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12.63%), '서울 등 주요 도심 공급 부족 심화'(10.9%), '정부의 주요 규제에 따른 매물 잠김'(8.91%), '급매물 위주로 실수요층 유입'(8.78%), '대출규제에 따른 풍선효과'(6.52%) 등 순이었습니다.
현 정부 출범 이후 6·27 대책부터 최근 10·15 대책까지 다양한 수요 억제 조치가 나왔음에도 서울 주요 아파트와 수도권 핵심 지역 중심으로 신고가 현상이 이어지며 수요층의 불안 심리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고 부동산R114는 분석했습니다.
가격 하락 전망 이유로는 '대출규제로 매수세 약화'(38.16%), '경기침체 가능성'(15.94%), '대출금리 부담'(10.63%), '가격 부담에 따른 수요 감소'(8.21%), '규제지역 확대 영향'(7.25%) 등이 꼽혔습니다.
이번 조사는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신뢰수준 95%에서 ±2.57%포인트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