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간 상호관세 협상이 8월 1일 관세 부과 시한을 앞두고 최대 분수령을 맞았습니다.
한국 정부는 미국의 압박 속에 최소한의 피해로 타협점을 찾기 위한 총력 외교전에 나섰습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현지시간 15일 미국 워싱턴DC와 뉴욕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 대표 등과 이틀 연속 대면 협상을 벌였습니다.
특히 러트닉 장관의 자택에서 비공개 회동이 이뤄지며 막판 조율 단계에 들어갔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백악관은 한미 협상에 대해 처음으로 "생산적 협상"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또한 한국을 향한 공개 비판 없이 "8월 1일까지 협상 대부분을 마무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부담은 한국 측에 큽니다.
미국이 요구한 미국산 소고기 추가 개방, 정밀지도 해외 반출, 플랫폼 규제 철회, 자동차 관련 비관세 장벽 완화 등은 모두 국내 반발이 거센 민감한 사안들입니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과는 이미 만족스러운 수준의 무역 합의를 타결한 상황이라, 한국을 압박할 카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미국은 또 EU, 중국과의 협상 일정도 빽빽해 한국과의 대면 협상 시간이 사실상 30~31일 이틀뿐으로 좁혀진 상황입니다.

정부는 이에 조현 외교부 장관을 31일 방미시켜 국무장관과의 회담을 추진, 외교적 측면 지원에도 나설 방침입니다.
동시에 조선·반도체·배터리 등 전략 산업 협력 방안을 카드로 제시하며 미국의 양보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측이 제시한 최대 550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 요구는 한국 경제 규모를 고려할 때 부담이 크다는 점에서, 정부는 실리와 명분 사이에서 극한 균형을 요구받는 협상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