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남> 헌재의 결정에 따라, 인구 기준에 못 미치는 광주 동구는 선거구 유지를 위해 인근 지역의 편입이 필요합니다.
여> 북구 두암 3동이 가장 유력한 편입대상이지만, 노인과 기초수급자가 많아 복지비 부담 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습니다. 정경원 기잡니다.
【 기자 】
지역 정치권의 가장 큰 고민은 인구 하한선을 밑도는 광주 동구와 상한선을 초과한 북구을 선거구를 어떻게 하느l니다.
CG
이와 관련해 이미 광주 동구와 새정치민주연합은 자치구 균형발전 차원에서 구간 경계조정을 해달라고 광주시에 요청한 상탭니다.//
국회의원 전체 선거구 문제와 얽혀 있기 때문에 정치권과 광주시도 이른바 개리 맨더링이란 말을 듣지 않기 위해 다른 지역의 눈치를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보다 속내가 복잡한 건 동굽니다.
동구와 북구의 경계만 조정한다면, 당장 동구로 편입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곳 가운데 하나는 인구 만 6천 명의 두암3동,
하지만 기초수급자와 노인인구가 많아 복지비 부담이 가중될 게 뻔하기 때문입니다.
▶ 싱크 : 광주 동구 관계자
- "받는 입장에서 보면 인구 수도 중요하지만 저희들의 재원도 판단해야 할 것 아닙니까. (두암3동의 수급자 수는) 동구에서 기존에 관리하고 있는 수급자 숫자의 절반 이상의 분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CG
실제로 지난 3월 동구가 지급한 수급비는 12억 4천만 원인데, 북구가 두암3동 한 동에 지급한 수급비는 동구 전체 수급비의 2/3와 맞먹었습니다.//
CG
기초연금도 두암 3동에 지급한 액수가 동구 전체 기초연금의 1/5이나 됐습니다.//
때문에 광주시 전체의 자치구 경계조정을 요구하고 있지만,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 어느 쪽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 스탠딩 : 정경원
- "선거구 획정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가운데 가뜩이나 복지비 부담이 버거운 동구의 고민은 더 깊어지고 있습니다. kbc 정경원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