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내년도 대학구조개혁 평가의 기본계획이 확정됐습니다.
광주*전남 등 지방 대학들의 반발을 샀던
평가 지표의 일부가 개선됐지만 내년 8월 대학별 등급 발표를 앞두고 여전히
지방 대학들의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김재현 기자의 보돕니다.
오는 2022년까지 대학정원 16만 명 감축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는 대학구조개혁 평가 방식이 확정됐습니다.
그 동안 지방 대학들의 강력한 반발을 샀던 전임교원 확보율과 교육비 환원율, 학생충원율, 졸업생 취업률 등은 국립과 사립, 수도권과 지방으로 나눠 평가됩니다.//
인터뷰-김병록 / 조선대 기획조정실장 /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을 구분해서 평가를 해달라 또 산업 기반을 고려해서 권역별 구분 평가를 해달라는 대학들의 요구는 어느 정도 수용이 된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하지만 평가방식이 바뀌었다고 해도
지방 대학들의 대규모 출혈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새로 도입되는 정성평가의 객관성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 재정과 규모 등 정량적 수치로 평가받는 항목들이 수도권 대학에 비해 크게 불리하기 때문입니다.
국립대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주요 거점 국립대로 지정된 전남대는 최근 주요 대학평가지표 중 하나인 취업률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학내 갈등이 심화되는 진통을 겪었습니다.
인터뷰-신윤숙 / 전남대 기획처장 / 취업이 안 되는 분야도 우리가 또 학문 후속 세대를 만들어야 되고 이런 기능을 다 해야 되는데 어떤 방향으로 어떤 철학을 가지고 육성해야 될 지에 대한 (정부의) 그런 고민이 없고
정부의 대학구조개혁이 사실상 경쟁력 없는 지방대학들의 퇴출을 위한 수순이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bc 김재현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