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서 시작돼 전국으로 번지고 있는 9시 등교 찬반 논란이 광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광주시교육청이 9시 등교 시행을 적극 검토하기로 하면서, 학부모들의 거센 반발이 예상됩니다. 임소영 기잡니다.
현재 광주지역 각급학교의 등교시간은
고등학교의 경우 7시 30분 전후, 초등과
중학교는 평균 8시 30분 정돕니다.
광주시교육청이 이 같은 광주지역 학교들의
등교 시간 조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인터뷰-김성영
광주시교육청 교육국장
"다른 지역의 시행착오 부작용 감안한 적정한 등교시간 재조명 필요"
최근 경기도와 강원, 전북, 제주에서
잇따라 9시 등교 시행에 나선데 이어
광주도 0교시 폐지를 보다 강화해서 등교를 9시로 늦추겠다는 계획입니다.
다음주 각급학교 교장협의회에서 의견수렴 방식을 정해 학생,학부모, 교사들의 의견을 모을 예정이긴 하지만 방식의 차이일 뿐
조만간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cg/
경기도교육청의 9시 등교,9시 20분 1교시를 택할지, 강원도와 같은 9시 1교시 방식을 도입할지에 더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스탠드업-임소영
광주시교육청의 9시 등교 논의에 대해
일선 학교와 교사, 학부모들의 찬반 의견이 엇갈리고 있어 당분간 논란이 예상됩니다.
싱크-중학생 학부모 (9시 등교 반대입장)
"제가 출근을 8시까지 해요. 그렇다면 아이를 준비를 시켜놓고 제가 나가야되는데 그 공백기간동안에 아이가 제 시간에 학교에 갈지 안갈지 어떻게 장담을 할 수 있을지 "
싱크-최연순 학부모 (9시 등교 찬성입장)
" 0교시 수업은 안하더라도 8시 이전에 등교해서 수업이 아닌 공부를 하고있거든요. 저는 오히려 아침시간을 여유롭게 시작해서 하루를 잘 마무리하는 것이 좋지않을까 싶습니다."
어떤 형태로든 9시 등교가 시행될 경우,
맞벌이 부모 등 가정 형편과 통학거리 등의 차이로 다양해질 학생들의 등교시간에 대비한 학교들의 돌봄책 마련도 시급해졌습니다. kbc 임소영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