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광주·전남 수출입 '긴장'

    작성 : 2022-03-20 18:33:34

    【 앵커멘트 】
    한달 가까이 이어지고 있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지역 기업들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커 원자재 가격 급등과 국제물류 불안으로 인한 수출입 피해가 불가피합니다.

    임소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여수산단의 대형 정유사입니다.

    지난달 24일 시작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상황에 촉각을 세우고 있습니다.

    자칫 확전돼 전체의 20%에 달하는 러시아를 통한 원유 수입선이 막힐 경우 큰 타격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 싱크 : 정유사 관계자(음성변조)
    - "러시아 쪽으로 물류가 이동해오는데 막혀버리면 20% 정도를 중동이나 아니면 지금 한참 몸값이 올라와 있는 스팟성 물건들을 저희가 사 와야 되는데 (부담이 급증하게 됩니다)"

    한달째 이어지고 있는 우크라이나 사태 속에
    지난해 말 배럴당 70달러 선이던 국제유가는 이달 초 125달러까지 70% 급등했습니다.

    원유 등 원자재 가격 상승은 수입물가 급증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CG)광주는 지난달 수입액이 1년 전보다 23.8%, 전남은 5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무역수지 악화는 불가피합니다.

    정부도 우크라이나 피해 기업 지원센터를 설치해 수출입기업들에 대한 세정과 통관 등 피해 지원에 나섰습니다.

    ▶ 인터뷰 : 김동혁 / 광주본부세관 수출입기업지원센터
    - "피해 기업에 대해 무담보로 세금 납부 기한 연장, 분할 납부를 지원하고 있으며 환급금 신청 시 당일 환급은 물론 24시간 신속 통관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3월부터는 수출입 기업은 물론, 건설과 곡물, 금융 등 경제 전반에 우크라이나발 위기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만큼 위기 관리를 위한 수입선 다변화와 정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KBC임소영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