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deo Player is loading.
이에 대해 장윤선 정치전문기자는 23일 KBC라디오 '박영환의 시사1번지'에서 "(정율성이) 1933년도에 중국 난징 조선혁명군사정치 간부 학교에 입학을 하는 등 이 분의 삶 자체가 우리 역사의 아픔"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장 기자는 "모든 역사는 공도 있고 과도 있다"며 "우리가 이승만을 평가할 때 공도 있지만 과도 있다(고 본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이승만도) 항일 운동도 했지만 친일 경력도 있다"며 "(역사가) 공과 과를 똑같이 기록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이것을 일도양단 식으로 공산당, 빨갱이, 색깔론으로 판단 하는 건 옳지 않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반면 문종형 국민의힘 상근부대변인은 "이완용 같은 사람들도 가족들 보면 독립운동 한 사람들 많이 있다"며 "정율성 씨 같은 경우는 그런 역사적 평가의 범주 안에 포함된 분조차 아니다"라고 일축했습니다.
문 부대변인은 "쉽게 얘기하면 중화인민공화국 내에서 열성적으로 활동한 중국 국적의 공산당원"이며 "항일 운동 한 부분은 굉장히 지엽적인 부분으로 역사적인 자료도 거의 남아 있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대한민국 건국과 독립, 이 정도 공헌을 한 인물이면 기념공원까지 만들어준다"면서 "강기정 시장에게 정율성이라는 사람이 도산 안창호 선생과 동급이냐"고 반문했습니다.
아울러 "친중 특구 지역도 아니고 광주라는 도시에서 왜 강기정 시장이 이런 시정을 펼치는지 단순히 2020년 5월에 문재인 정부가 시행했다고 해서 이것을 꼭 시장이 받아서 할 필요는 없다"고 질책했습니다.
#박영환의시사1번지 #광주 #중국 #정율성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