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 노후를 책임지는 국민연금 기금이 사상 처음으로 총자산의 절반 이상을 주식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안정성을 중시하던 과거의 운용 방식에서 벗어나 기금 고갈 시점을 늦추기 위한 공격적인 투자에 나선 것입니다.
올해 6월 말 기준 국민연금 기금운용 현황 자료에 따르면, 모두 1,269조 1,355억 원에 이르는 적립금 가운데 주식(국내 및 해외)에 투자된 금액은 635조 5,734억 원으로, 전체 자산의 50.1%를 차지했습니다.
국민연금 기금에서 주식 비중이 50%를 넘어선 건 역사상 처음입니다.
이같은 변화는 10년 전과 비교하면 더욱 뚜렷해집니다.
2015년 말 국민연금의 자산 구성은 채권이 56.6%로 절반 이상이었고, 주식은 32.2%에 불과했습니다.
반면, 10년이 흐른 2025년 6월 현재 채권 비중은 33.0%까지 낮아졌고, 그 자리를 주식이 채웠습니다.
이같은 변화를 가져온 가장 큰 이유는 '수익률'입니다.
저출산·고령화로 연금을 받을 사람은 늘어나는데 보험료를 낼 사람은 줄어들면서 기금 고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기금 운용 수익률을 단 1%p만 높여도 기금 고갈 시점을 수년 이상 늦출 수 있습니다.
결국, 지금의 안정적인 운용만으로는 국민의 노후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판단하에,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더 높은 수익을 내기 위한 '승부수'를 던진 것입니다.
주식 투자의 무게중심은 점차 해외로 향하고 있습니다.
전체 주식 비중 50.1% 중 국내 주식은 14.9%(189조 원)이지만, 해외 주식은 35.2%(446조 원)로 두 배가 넘습니다.
투자를 다변화 하기 위한 '위험 분산'과 국내 시장에 대한 '과잉 영향력 해소'를 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국민연금의 이같은 행보는 이제 국제 금융시장에서도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1,200조 원이 넘는 '슈퍼 고래'가 투자 방향을 튼 것은 뉴욕과 런던 증시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