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전남 농촌고령화 대책 급하다

    작성 : 2014-10-24 08:30:50
    남> 전남 농어촌의 고령화가 심각합니다. 65세 이상 농가 비율이 60%에 육박하면서 전국 평균보다 무려 20% 이상 높았습니다.

    여> 상대적으로 더딘 밭작물 기계화 확대와 함께 귀농 지원 현실화 등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서울방송본부 신익환 기잡니다.



    농촌의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전남의 상황이 심각합니다.

    (CG1)
    지난해 기준 전체 농가 인구 284만 7천 명 중 65세 이상 고령자는 76만 3천 명,
    고령화율은 37.3%로 10년 전보다
    11.1% 포인트 증가했습니다.

    (CG2)
    특히 전남의 농가 고령화율은 지난 2007년 51.9%로 50%대를 돌파한 데 이어, 지난해 59%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농협중앙회 국정감사에선 농촌 고령화에
    대한 대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컸습니다

    새정치민주연합 황주홍 의원은
    농촌 고령화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와 함께
    농협이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우선 논 농사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농기계은행사업을 밭작물 농작업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육묘에서 수확 후 건조에 이르는
    일관작업을 대행하는 맞춤형 직영농협도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싱크-황주홍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
    "눈 앞에 훤히 보이는 리스크인데, 농협 차원에서도 노력이 필요합니다. 농식품부도 각별한 관심과 집중을 해야 합니다."

    유럽과 일본처럼 귀농*귀촌자에게
    급여형태의 정착지원금을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습니다.

    싱크-최원병 농협중앙회장
    "농식품부와 잘 협의를 하면서, 이 부분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건의를 하고 있습니다"

    국감에서는 또 청년 농업인 확보를 위해
    군 복무를 대신하는 사회복무제도에 농기계 운전자 등을 대상에 포함시키는 방안이
    제시됐습니다.

    스탠드업-신익환
    농촌 고령화는 앞으로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돼 급변하는 농가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kbc 서울방송본부 신익환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