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백제-마한의 흔적..금동신발 출토

    작성 : 2014-10-23 20:50:50

    나주의 한 고분에서 5세기 백제와 마한을 대표하는 유물들이 대거 발굴됐습니다.



    당시 백제의 기술력을 온전히 보여주는

    금동신발을 비롯해 금장신구와 각종 토기류 등 영산강을 중심으로 형성된 고대 사회

    문화 연구에 큰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김재현 기자의 보돕니다.



    3중으로 배치된 8개의 꽃잎과 꽃술 문양.



    눈을 부릅뜨고 입을 쩍벌린 도깨비의 형상이 화려함을 뽑냅니다.



    신발 끝에 달린 용 모양 장식은 백제의 정교한 기술력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싱크-오동선 /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학예사 / 기본적인 문양의 모티브는 육각 투조를 이용했고요. 육각 투조 안에 다양한 문양들을 도식화해서..



    삼국시대 고분 가운데 최대 규모의 방대형 고분인 나주 정촌 고분 유물들입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굴된 것 가운데 가장 완벽한 형태를 자랑하는 금동신발을 비롯해 금장신구와 마구, 화살통 장식, 각종 토기 등 5세기 백제와 마한의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유물들이 대거 출토됐습니다.



    영산강 본류가 바로 보일 수 있도록 언덕의 비탈면에 지어진 무덤의 주인은 5세기 중엽 나주 일대를 지배했던 마한 세력의 지도자로 추정됩니다.



    인터뷰-이한상 / 대전대 역사문화학과 교수

    "무덤에서 출토된 금동신발은 백제의 것으로 볼 수 있고 백제가 중앙집권화 되어가는 과도기에 이 지역을 다스리고 있던 마한 세력의 지도자에게 하사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유물의 발굴로 영산강 유역에 대한 백제의 진출 시기와 토착세력과의 관계 등을 새롭게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오는 11월 말까지 추가 발굴조사를 완료하고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공개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kbc 김재현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