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 예산이 이처럼 올해보다 7백억원이 많게 반영됐지만 전면 재검토에 들어간
도시철도 2호선의 예산이 반영돼 광주시가
고민에 쌓여 있습니다
2호선 건설을 취소할 경우 어렵게 확보한 136억원의 국비를 다시 반납해야 해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정지용 기자의 보돕니다.
광주시가 내년도 국비지원을 요청한
사업 중 도시철도 2호선 실시설계비
136억 원이 정부 예산안에 반영됐습니다.
전임 강운태 시장이 지난 5월 말 요구한
예산입니다.
하지만 착공과 함께 광주시 재정에 부담이 될 게 뻔해 윤장현 시장은 건설 여부에
대해 고민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윤장현/광주시장(17일, 광주남구청)
"건설시기와 방식을 논의해야 합니다."
도시철도 건설이 예정된 수순을 밟을 경우 광주시가 편성 목적대로 사용하면
큰 문제가 없습니다.
건설을 하되 착공 시기를 늦출 경우
사업계획 변경에 해당돼 기획재정부와
국토부 등 정부와 협의를 거쳐야 하는데, 쉬운 일이 아닙니다.
전화인터뷰-광주시 관계자(음성변조)/저희들 입장에서는 이렇게라도 해주기를 바라지만 (기재부와 국토부) 두 부처에서 과연 그렇게 해 줄지는 협의해 봐야 알겠습니다.
하지만 건설이 백지화되면 이 예산은
불용 처리돼 정부에 고스란히 반환해야
합니다.
한 푼의 국비가 아쉬운 상황이어서
광주시는 건설이 무산되더라도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방법을 강구할 것으로 보입니다.
광주시는 이번에 확보한 도시철도 예산을 최장 2년간 이월할 수 있어 2천 17년까지 시간이 있습니다.
도시철도 2호선 건설을 놓고 윤장현 시장이 고심을 거듭하는 가운데 반갑지 않은 예산 반영에 광주시가 곤혹스러워 하고 있습니다
kbc정지용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