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국가 전산망 비상사태에 대비해 충남 공주에 건립 중인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제4센터(재해복구 전용 데이터센터)가 착수 18년이 지나도록 개청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최근 대전 본원 전산실 화재로 공공 서비스가 대거 중단되자, 공주센터가 정상 가동됐다면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29일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공주센터는 대전·광주·대구에 이어 네 번째 국정자원센터로 화생방·내진·전자기파(EMP) 차폐 등 특수시설을 갖춘 '재해복구 전용 센터'입니다.
2008년 정보보호 중기계획에 따라 추진돼 2012년 운영을 목표로 했지만, 타당성 재조사와 사업자 선정 유찰, 공사 중단 등이 이어지면서 2019년에야 착공했고, 건물 완공은 2023년 5월이었습니다.
정부는 애초 지난해 11월 개청을 예고했지만, 2023년 행정 전산망 마비 사태 이후 액티브-액티브 재난복구(D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계획을 수정하면서 또다시 연기됐습니다.
액티브-액티브 방식은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아 한쪽이 마비돼도 다른 쪽이 즉시 업무를 이어가는 안정적인 체계지만, 현재까지 구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올해 5월 기준 공정률은 66.9%에 그쳤고, 개청 목표로 잡힌 오는 10월도 불확실한 상황입니다.
행정안전부는 "대전·광주센터 데이터를 공주에 백업하고 있지만 DR 시스템은 미구축 상태"라고 밝혔습니다.
예산정책처는 "비상사태 대비 필요성을 인식한 시점과 달리 사업이 장기간 지연됐다"며 "조속히 국가 전산망 백업센터 기능을 갖추도록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