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이처럼 어민들이 해상 운송을 강하게 반대하는 이유는 자칫 전남의 바다가 죽음의 바다가 될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 장비도, 대책도 허술하기 짝이 없습니다. 계속해서 백지훈 기잡니다.
【 기자 】
영광의 한빛원전에서 경주의 월성방폐장까지 항해거리는 843km로 이틀의 시간이 걸립니다.
매번 드럼 천 개 분량의 방사성 폐기물이 전남의 바다를 지나 운반될 계획입니다.
운반을 맡은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해상 충돌방지를 위해 해경에 에스코트를 요청했지만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입니다.
해경에는 방사성폐기물 사고발생 시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특수선이 없습니다.
▶ 인터뷰 : 부좌현 /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
- "배가 가라앉지 않도록 견인 하는 등 적극적으로 조치해야죠. 그런데 해경이 가진 선박이라는게 해양감시선, 순시선 수준의 배밖에 없기 때문에"
방사성 폐기물의 해상 운반을 위해 원전지역
주민들과만 합의하려는 것도 문젭니다.
최대한 멀리 돌아가더라도 신안과 진도, 완도 등 전남지역 바다를 모두 거쳐야 합니다.
▶ 인터뷰 : 이동권 / 전남도의원(영광1선거구)
- "만에 하나 사고가 났을 때 대책이 정확하게 나와져서, 영광군민이 됐든 전남 도민이든 전체가 수긍할 수 있도록"
하지만, 해당지역 주민들에게 방사능 폐기물의 해상 운반에 대한 동의를 구하기는 커녕
알리지도 않고 있습니다.
환경공단은 또 세월호 사고가 발생했던 진도의
맹골수도는 우회하겠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해상에서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피항항으로 진도항과 광양항을 지정해놓고 있어 앞뒤가 맞지 않습니다.
허점 투성이 방사능 폐기물 안전대책이 전남의 청정바다를 방사능 위험 속으로 몰아넣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kbc 백지훈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