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의료용 마약류 관리 또 도마 위에

    작성 : 2015-04-07 20:50:50



    【 앵커멘트 】
    동료의 인적사항을 도용해 향정신성의약품을
    수천 알 처방받아 투약한 간호조무사가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졸피뎀이나 프로포폴 같은 의료용 마약류
    함부로 쓰이고 있지만, 단속이나 대책은 제자리걸음입니다.

    정경원 기잡니다.

    【 기자 】
    간호조무사로 일하던 33살 박 모 씨는 불면증에 시달리면서 향정신성의약품인 수면유도제 졸피뎀에 의지하게 됐습니다.

    하지만 한 번에 처방받을 수 있는 양은 4주 분,

    내성이 생긴 박 씨에겐 턱없이 부족한 양이었지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처방정보공유시스템 때문에 다른 곳에서 추가로 처방을 받을 수도 없었습니다.

    결국 박 씨는 직장 동료들의 인적사항을 도용해 졸피뎀을 처방받았는데, 이런 식으로 지난 2년 동안 처방받은 양이 무려 9천여 알에 이릅니다.

    ▶ 인터뷰 : 송기주 / 광주지방경찰청 마약수사대장
    - "아무래도 의료 종사자이기 때문에 처방관리시스템 자체에 대해서는 일반인보다는 더 많이 알고 있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마약류로 분류된 향정신성의약품의 오남용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지난해 광주 서구의 한 병원에서는 관리대장에도 기록하지 않은 채 프로포폴을 상습적으로 투약했던 30살 부원장이 숨졌습니다.

    지난 2013년에는 50대 여성이 광주 동구의 한 금은방에 들어가 주인에게 졸피뎀을 탄 커피를 마시도록 한 뒤 귀금속을 훔쳐 달아나는 등 강력범죄로 이어지기까지 했습니다.

    하지만 보건당국이 향정신성의약품의 관리를 사실상 병원에만 맡기고 있는데다 병원에서도 환자의 신원조차 제대로 확인하지 않으면서 의료용 마약류의 오남용은 근절되지 않고 있습니다.

    ▶ 싱크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관계자
    - "(신원 확인을 강화하는 것 외엔) 현실적으로 지금 당장 어떤 시스템을 바꿀 수 있는 방법은 없어요"

    향정신성의약품 관리에 대한 단속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의료용 마약류를 처방할 때만이라도 실질적인 신원확인을 강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kbc 정경원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