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들이 작품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레지던시사업이 광주*전남지역에서도 크게 늘고 있습니다
신인작가 참여를 늘리는 등 아시문화중심도시에 걸맞게 보다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김효성 기잡니다.
올해 처음으로 문을 연
예술인 거주공간입니다.
구한말 미국 선교사들의 주택을 개조한
이곳에서는 작가 9명이 거주하며
창작활동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광주문화재단의 지원으로 진행되는
이 레지던시사업은 문학과 조각,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이이남 미디어 아티스트
CG1>
현재 광주시가 아시아 예술인, 대인예술
시장 레지던시 사업을 진행하고 있고,
광주문화재단은 지난 2009년부터 다양한
레지던스 사업을 통해 유망작가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CG2>
전남에서는 대담미술관 등 5개 문화 기관이
국내외 작가들에게 창작공간을 제공하면서
주민과의 소통프로그램을 진행해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작가들의 비중이 여전히 높기
때문에 레지던시의 핵심인 신인들의 참여를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서법현 작가
해당 기관들은 문화공간 활성화에 유명
작가들의 참여가 불가피하다며 앞으로 신인작가에 대한 지원을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유지영 아트주 실장
작가들은 단순한 공간제공 등 구색맞추기식 지원수준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뒷받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KBC 김효성입니다.
랭킹뉴스
2025-08-06 22:33
"지금 접합수술 어렵다" 절단 환자, 광주서 천안 이송
2025-08-06 21:15
수건 대신 '걸레' 제공한 호텔...'관광도시' 여수 '오명'
2025-08-06 18:00
불탄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해체 허가'...해체에 3개월
2025-08-06 17:54
충북 충주서 깊이 2.5m 땅꺼짐...20대 여성 찰과상
2025-08-06 17:03
수건 달랬더니 '걸레' 준 호텔...'관광도시' 여수 '치명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