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름'이 '차별'이 되지 않게..코로나19 속 장애인의 삶

    작성 : 2022-04-16 18:51:20

    【 앵커멘트 】
    코로나19와 사투하는 지난 3년간 힘들지 않은 사람들은 없었을 겁니다.

    그 와중에도 '장애'라는 다름으로 인해 더욱 소외되고 외면받은 사람들이 있었는데요.

    국가적인 재난 상황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 차별 없이 보호받을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해보입니다. 정의진 기자입니다.

    【 기자 】
    시각장애인인 강상수 씨는 코로나19를 거쳐온 지난 3년이 긴장과 불안의 연속이었다고 말합니다.

    '선제적인' 검사에 나서달라는 정부와 지자체의 거듭된 요구는 강 씨에겐 실현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 싱크 : 119 구급대와의 전화통화(음성변조)
    - "직업상 코로나19 선제 검사를 받아야 되는 상황이거든요? 그래서 혹시 구급차 지원을 부탁드릴 수 있을까 해서요. (구급차 지원은 안되고요. 보건소에 전화하셔서 요청하십시오) 보건소에서는 여기에 물어보라고 하시던데요."

    자가진단키트를 사용하는 것은 물론, 검사 결과도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 싱크 : 강상수 / 시각장애인
    - "(자가진단키트가)소리를 내주거나 진동이 되는 전자장치가 아니기 때문에"

    청각장애인인 전응섭 씨.

    코로나19 확진 판정 이후 제공받은 정보는 들을 수 있고, 볼 수 있고, 말할 수 있는 '비장애인'이 기준이었습니다.

    전 씨가 확인할 수 있었던 건 '양성 판정'이라는 휴대폰 메시지 뿐이었습니다.

    ▶ 싱크 : 전응섭 / 시각장애인
    - "어떤 출처를 알 수 없는 곳에서 계속 전화가 오는데, 대부분이 음성 전화이기 때문에 듣지 못하는 농아인으로서 전화를 받지 못해 어떻게 해야 되는지 계속 당황하고"

    광주·전남에 등록된 장애인만 20만 명이 넘는데도, 최근 2년간 자가격리된 장애인에 대한 활동 지원은 광주에선 7건에 불과했고, 전남은 1건도 없었습니다.

    코로나19 치명률이 비장애인에 비해 3배 넘게 높은데도 대처는 부족했습니다.

    지난해 12월, 뒤늦게 장애인 인권에 대한 모니터링에 들어간 광주시는 정보 접근성 확대와 장애인 선별진료소 설치, 이동·돌봄 지원 등 대책을 내놨습니다.

    ▶ 싱크 : 장익선 / 지체장애인(근이영양증)
    - "현장에 있는 목소리가 반영이 되지 않는다면 전혀 의미 없는 방향으로 정책이 흘러갈 수 있기 때문에"

    KBC 정의진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