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정부의 정책에 따라 광주시가 이르면 오는 7월부터 택시 감차에 들어갑니다.
택시 공급 과잉을 막기 위해 광주에 있는 택시의 15% 수준인 천 2백여 대를 줄이겠다는 건데, 업계는 턱없이 낮은 보상금에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현재 개인택시 면허를 양도받기 위해서는 한 대당 9천만원 정도의 돈을 줘야하는데, 광주시는 20%에도 못미치는 천 3백만원의 보상금만 책정했습니다.
업계는 택시 공급 과잉을 불러온 건 시의 책임이라면서 현실적인 대응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정의진 기자가 집중취재했습니다.
【 기자 】
현재 광주에서 운영되고 있는 택시는 모두 8천 2백여 대. 광주시는 이 중 천 2백 여대를 오는 2019년까지 감차할 계획입니다//
택시 총량제의 일환으로 과잉 공급된 택시를 줄여 경쟁력을 확보하고 서비스의 질도 높이겠다는 취집니다.
▶ 스탠딩 : 정의진
"문제는 감차에 따른 보상금입니다.
보시다시피 현재 개인택시의 경우 한 대당 실거래가는 9천만 원, 법인택시는 3천 5백만 원에 이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광주시의 한 대 당 감차보상금은 국비 3백 90만 원, 시비 9백 10만 원 등 천 3백만 원에 그치고 있습니다//
감차를 위해 필요한 사업비는 8백억 원인데, 광주시의 국비지원예산은 164억 원에 불과해 보상에는 턱 없는 수준입니다.
업계의 반응도 냉랭하기만 합니다.
택시 공급 과잉에는 일부 지자체의 책임도 있는데, 현실적인 보상책 없이 감차하라는 건 말도 안 된다는 겁니다.
▶ 인터뷰 : 김재복 / 개인택시 32년차
- "(광주시가)잘 관리를 못하고 이제와서야 감차 대상이니, 뭔 대상이니 이러면 누가 하겠느냐는 이야기죠. 결과적으로 아무 예산도 없이"
▶ 인터뷰 : 박용우 / 법인택시 3년차
- "우리가 지금 받는 보조금도 너무 적거든요. (감차 보상금이)안맞죠 현실에. 지금 현재로선 그래요"
광주시도 재원 마련을 위해 4월 감차위원회를 구성,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겠다는 입장입니다.
▶ 인터뷰 : 유재정 / 광주시청 택시행정담당
- "1268대를 감차하게 되면 800억 원이 소요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재원 마련이 가장 어렵지 않을까"
이르면 오는 7월부터 본격 시행되는 택시 감차 정책,
하지만 지원책은 현실과 크게 동 떨어져 있어 업계의 반발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kbc 정의진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