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광주시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추진하면서 해당 노동자들은 고용안정과 처우개선에 큰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건비 상승에 따른 재정부담이 예상되고, 노무 관리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을 경우 부작용도 우려됩니다.
정지용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광주시청에서 청소일을 하는 58살 이매순 씨.
2천 4년 용역직으로 채용된 뒤, 한 차례 해고를 당했던 경험이 있어 이번 정규직화 추진에 남다른 감회를 나타냈습니다.
▶ 인터뷰 : 이매순 / 광주시청 용역직원
- "저희는 월급보다도 안정적으로 갈 수 있다는 것, 또 (정규직과) 눈높이를 같이 할 수 있다는 것, 그런게 더 (좋지요)"
광주시는 2천 17년까지 본청 소속 용역직 74명을 비롯해 공공부문 비정규직 8백 96명을 단계적으로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할 계획입니다.
문제는 인건비 상승에 따른 재정 부담을 어떻게 최소화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광주시는 용역업체에 주는 비용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아 정규직화 하더라도 추가 부담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 인터뷰 : 김창영 / 광주시청 비정규직개선담당
- "2년 후에 이 분들을 공무직으로 전환하게 되는데, 민간위탁 용역비와 비교해 보면 비용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비정규직 4천 4백명 중 3천 6백 명을
정규직화 한 광주시교육청은 재정 부담을 겪고 있습니다.
이들에 대한 인건비가(c.g.) 지난 2천 13년 7백억 원에서 올해 805억 원으로 2년 만에 백억 원이 늘었습니다.
이 중 절반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지만 임금상승에 따른 재정 부담은 해가 갈수록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광주시교육청 관계자
- "(음성변조)근로자들이 계속 무기계약직으로 60세까지 일 하잖아요. 거기에 따른 예산 부담이 되는 거죠."
2년에 한 번씩 단체협약을 해야 하고, 해마다 임금 협상에 나서야 하는 탓에 적극적인 노무관리도 요구됩니다.
비정규직의 처우개선을 위해 정규직화가 추진되는 만큼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회적 분위기 조성 등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c정지용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