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이 6·3 대통령 선거에 나설 후보들에 대한 경호를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12·3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을 거치며 협박, 폭행, 방화, 분신 등 극단 행위가 그 어느 때보다 늘어난 상황에 대응하겠다는 겁니다.
경찰 관계자는 14일 연합뉴스에 "사회 분위기를 고려해 지난 대선 때보다 더 많은 경호 인원을 선발하고, 교육 강도도 높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경찰청은 지난 4∼9일 전국 경찰을 대상으로 대선 경호팀 지원자를 모집했으며, 서류 심사, 체력 검증, 면접 등을 거쳐 17일쯤 명단을 확정 짓습니다.
2022년 제20대 대선 당시는 총 150명을 선발했지만, 이번에는 규모를 확대하는 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습니다.
합격자는 경찰특공대의 별도 교육도 받게 됩니다. 경찰 관계자는 "최근 증가한 경호 위협 요인에 대해 교육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경호팀은 각 정당에서 대선 후보를 선출했을 때 정식으로 투입됩니다. 그간은 후보자당 최대 30명이 배치됐는데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들은 대선 결과가 확정될 때까지 후보자에게 국무총리나 국회의장 등에게 제공되는 '을호' 경호를 펼칩니다.
'24시간 밀착 마크'를 원칙으로 주간에는 촉수 거리(팔을 뻗었을 때 닿는 거리)를 유지하고, 야간에는 후보자 자택 근처에서 경호를 제공합니다.
업무가 고된 만큼 경호팀 지원자 중에는 특공대, 공수부대, 무도 특채 출신 등이 많습니다.
대선 경호 경험이 있는 한 경찰은 "하루 종일 후보자 곁에서 긴장 상태를 유지하는, 신체적·정신적으로 피가 말리는 일"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경호팀에 선발된다고 해도 별도의 인센티브는 없다"며 "자긍심과 사명감으로 하는 일"이라고 전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