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연간 사망자 2백 명, 결핵 감시 구멍 뚫리나

    작성 : 2014-11-04 20:50:50

    광주*전남에서만 연간 결핵 사망자가 2백 명을 웃도는 등 우리나라의 결핵 발병률은



    OECD 국가 중 1위인데요, 그동안 감시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검사를 해 왔습니다







    그런데 기획재정부가 검사비 절반을



    지방정부가 부담하도록 하고 검사 주체도 각 보건소로 넘기면서 결핵 감시체계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정경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후진국 질병처럼 여겨지는 결핵 환자가



    좀처럼 줄지 않고 있습니다.







    CG1



    광주전남에서 최근 3년 동안 신규 결핵 환자 수가 2천 5백여 명에 이릅니다.







    CG2



    사망자도 지난해 2백20여 명을 기록하는 등 해마다 2백 명을 넘기고 있습니다./







    --







    결핵은 강한 전염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의심스러운 환자에 대해 검사를 실시해



    조기에 격리 치료를 해야 합니다.







    대한결핵협회 광주전남지부도



    이를 위해 한 해 만 8천여 건의 결핵균



    검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한 해 들어가는 비용만



    1억 5천여만 원,







    지금껏 이 비용은 결핵 관리 차원에서



    국가가 전액 부담했습니다.







    하지만 기획재정부는 내년 예산안에서



    결핵균 검사비의 절반을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하도록 했습니다.







    결핵균 검사의 주체 역시 중앙정부에서



    개별 보건소로 바뀌게 되는데, 이럴 경우 정부 차원의 기존 감시체계가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금경우/ 대한결핵협회 광주전남지부 본부장







    지자체도 고민은 마찬가지입니다.







    당장 내년에 6천 2백만 원을 부담해야 하는 광주시는 일단은 기재부에 재 검토를



    건의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비용이 크지 않지만 가뜩이나 예산난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우선 순위가 밀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화인터뷰-광주시 관계자/



    "정부에서 추진하고 사업을 밀고 오면 사실상 거부하기가 힘들어요. 될 수 있으면 국가에서 해달라 건의는 하는데 상당히 힘들지 않느냐, 현재 상황은 그렇게 판단하고 있고요"







    결핵 발병률과 사망률 OECD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는 대한민국,







    스탠드업-정경원



    "이런 상황에서 결핵균 검사의 주체마저 지방자치단체로 바뀐다면 국가 결핵 관리에 구멍이 뚫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kbc 정경원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