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보훈처장이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 공식 기념곡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며 또다른 기념곡 공모를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지난 2010년 공식 식순에서 빠졌다가
논란이 일자 다시 불려지고는 있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다함께 부르는 제창이 아닌 단순 연주로만 식순에 포함돼 있습니다.
기념곡이 제창되지 않는 국가기념식은 5.18이 유일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박성호 기자의 보돕니다.
오늘 광주를 찾은 보훈처장은 현재 5.18의 공식 기념곡은 없다며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정했습니다.
인터뷰-박승춘/국가보훈처장
"5.18도 국가기념일인만큼 공식기념곡 필요하다. 지금은 없다"
5.18 당시 숨진 고 윤상원 열사를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임을 위한 행진곡은 지난 2003년부터 2008년까지 기념식 마지막 순서에 항상 제창돼 왔습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9년부터 2년 동안 갑자기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이 공식 식순에서 빠졌습니다.
거센 논란 끝에 2011년부터 다시 식순에 포함되기는 했지만 참석자들이 다함께 노래를 부르는 제창이 아닌 합창단의 단순 공연으로 평가 절하됐습니다.
보훈처는 올해 기념식에서도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는 순서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인터뷰-박승춘/국가보훈처장
"임을 위한 행진곡은 일부 이견이 있다"
하지만 5.18과는 달리 4.19와 3.15 등 다른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는 모두 기념곡들이 제창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인터뷰-김찬호/5.18기념재단 사무처장
"살아있는 노래 두고 죽은 노래 지정하겠다는 것"
이런 가운데 지역구 국회의원들도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 기념곡으로 지정하도록 하는 국회 결의안을 제출하겠다고 밝히는 등 반발은 점차 확산되는 양상입니다.
스탠드업-박성호
보훈처는 이번 5.18기념행사를 마친 뒤 공식기념곡을 새로 만드는 것을 강행하겠다고 밝혀 지역민들의 반발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kbc 박성홉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