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말만 바꾼 예산 조기집행 혼선

    작성 : 2013-03-25 00:00:00
    경기 활성화등을 명목으로 예산조기
    집행을 추진했던 정부가 올해부터는
    균형집행으로 전환하라고 각 지자체에 지시했습니다.

    하지만 이름은 바꿨을뿐
    모든것은 똑같아 혼선만 우려된다는 지적입니다.

    정지용 기자의 보돕니다.








    경제 둔화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예산 조기 집행을 독려했던
    중앙 정부와 각 지자체가
    올해부터 균형집행으로 전환했습니다.

    인터뷰-노래영/전남도 예산담당관
    "예산의 효율적 운영 달성할 수 있음."

    예산 조기 집행을 빌미로
    각 지자체마다 불요불급한 사업을
    무분별하게 착수하고,
    사업자금을 먼저 받은 원청업체에게만
    유리하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또 지자체가 거둘 수 있는
    막대한 이자 수익이 감소하는 등
    조기집행의 폐단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c.g.) 상반기 집행 목표를
    광역단체는 60%, 시군은 57%로 제시해
    조기 집행때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때문에 일선 지자체에서는
    예산 집행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혼선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전화인터뷰-지자체 관계자(음성변조)/실무적으로는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실정에 맞게 해야 하는데 수치만 갖고 이야기하니까 (지자체별로 쉽지 않습니다.)

    예산균형집행 방침은
    이름만 바뀌었을 뿐 내용은
    사실상 조기집행과 다를 바 없어
    조기집행의 폐단을
    막을 수 있을 지도 의문입니다.

    su//정부의 이율배반적인 지침으로
    일선 시군의 관행적인 예산 집행이
    올해도 되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c 정지용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