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8월 하순 계속된 비, 도열병 극심

    작성 : 2014-10-13 20:50:50

    남> 다음 소식입니다. 요즘 농촌 들녘은 한 해 농사의 결실을 거둬 들일 땐데요.. 하지만 유례없이 극심한 벼 도열병으로 농민들의 가슴이 새까맣게 타들어가고 있습니다.



    여> 벼 이삭이 패는 시기였던 지난 8월 내린 잦은 비 때문인데, 전남 전체 벼논의 1/10 넘게 피해를 입었습니다. 정경원 기잡니다.







    나주 다시면의 한 벼논입니다.



    이삭도열병이 발병한 이 논에서는 잎은

    푸른 빛을 띄고 있지만, 벼 이삭은 말라

    쭉정이뿐입니다.



    추수가 시작됐지만, 한 해 농사를 망치게 된 농민들은 깊은 시름에 잠겼습니다.



    인터뷰-장관수/ 이삭도열병 피해 농민



    잎도열병도 함께 발병한 논은 논 전체가

    허옇게 변했습니다.



    스탠드업-정경원

    "가장 심각한 나주의 경우 전체 벼 재배 면적 만 4천 헥타르 가운데 절반에 해당하는 7천 헥타르가 이삭도열병 피해를 입으면서 일부 농가에서는 수확도 포기하는 실정입니다"



    CG

    나주뿐 아니라 전남에서는 여수와 화순 등 7개 시군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이삭도열병이 발병했습니다.



    전남 전체 벼 재배 면적의 11%인 만 8천 헥타르 이상에서 피해가 나타났습니다./



    이삭도열병이 많이 발병했던 지난 2007년에 비해 4배 가까이 피해면적이 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올해 유례 없이 이삭도열병이 광범위하게 발병한 데에는 8월 하순 날씨의 영향이 컸다고 말합니다.



    인터뷰-김명환/ 전남농업기술원 농촌지도사



    CG

    실제로 나주의 경우 이삭이 올라오기 시작하는 8월 한 달 동안 20일 가까이 비가 계속됐고, 일조 시간도 평년에 비해 34시간이나 줄어드는 등 이삭도열병이 발병하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졌습니다.//



    지역에 따라 차이가 나기도 하지만,

    질소질이 많이 포함된 거름을 많이 주거나 도열병에 약한 품종을 재배하는 논을

    중심으로 피해가 극심했습니다.



    농도 전남의 10분의 1 이상이 피해를 입은 상황,



    하지만 이삭도열병 피해는 농작물 재해보상

    대상이 아니어서 수확기를 맞은 농민들의 마음은 새까맣게 타들어가고 있습니다.



    kbc 정경원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